메뉴

세계 최고의 여권 파워 국가 Top 10, 1위 싱가포르

 

 

대만은 참 불편하다. 중국 탓이다. 중국 정부의 '하나의 중국 외교 정책' 탓에 대만과 수교한 나라가 적어, 매번 비자를 받아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젊은 대만 청년들이 해외에서 매번 불편을 느낀다. 그들이 중국에 대해 어떤 호감을 가질 수 있을까 하는 생각마저 들 정도다.

이렇게 나라의 외교 입장에 따라 그 나라의 여권의 가치가 달라진다. 흔히 어느 나라 여권이 가장 쓸모가 있는지 차이가 생기는 것이다.

그렇다면 세계에서 가장 유용한 여권은 어느 나라 여권일까?

1위는 싱가포르였다. 

비자가이드월드(VisaGuide.World)가 전 세계 199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가장 유용한 여권 순위가 최근 발표됐다.

이번 조사에서 Top 10 국가는 대부분 유럽 국가들이 휩쓸었고, 1위는 91.15점을 받은 싱가포르가 차지했다. 싱가포르 외에 아시아 국가는 Top 10에 진입하지 못했다. 

 

1위 싱가포르

2위 이탈리아 

3위 스페인

4위 프랑스

5위 헝가리

6위 오스트리아 

7위 아일랜드

8위 네덜란드

9위 벨기에 

10위 스위스 

 

한국이나 일본이 10위에 들지 못한 것은 의외다. 한국만 해도 세계 193개국가와 수교를 맺고 있다. 올 2월 수교한 쿠바가 가장 최근까지 한국과 수교한 나라다. 한국 여권이면 글로벌 193개국을 언제든 방문할 수 있는 것이다.

일본의 외교력은 한국보다도 한 수 위다. 그래서 여권의 유용한 것을 방문 가능한 국가수로만 따진다면 일본은 싱가포르와 함께 언제나 세계 1위에 랭크됐다.

한국은 그 뒤를 바로 이어 2위를 차지해왔다. 그런데 이번 조사에서는 의외로 한국과 일본이 모두 10위내에 들지 못한 것이다. 유럽의 지나치게 좁은 식견이 반영된 조사 결과가 아닌가하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지난 2022년 국제교류 전문업체 헨리앤드파트너스가 발표한 이 순위에서 한국은 190점으로 독일과 함께 공동 2위에 올랐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