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AI서비스 다양해 주목돼...1위는 KimiCHAT

 

중국은 인공지능 강국이다. 글로벌 1위인 미국을 바짝 뒤쫓고 있는 유일한 국가다. 글로벌 논문수와 투자액이 미국에 이어 2위다. 

흔히 AI는 미래의 성장동력 1위로 꼽는다. 현재 미국의 오픈AI를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엔비디아의 주가가 치솟는 이유이기도 하다. 여러사람의 능력이 모여서 할 수 있는 일을 AI가 있으면 한 사람이 다 할 수 있다.

아예 사람이 필요없게 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측이자, 우려다. 

인간 소외를 부추긴다는 것이다.

우려할 일이 발생하면 안되겠지만, 그 정도로 AI의 성능은 막강하다. 간단히 삼국지에 나오는 제갈량을 나도 책사로 부릴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우리 모두가 유비가 되는 날이 오는 것이다. 

중국은 이 같은 책사의 중요성을 가장 잘 하는 나라다. 역사 시대마다 한 명의 책사가 등장, 그 역사의 흐름을 바꾼 게 수십, 수백번에 달한다.

중국이 AI 투자에 적극 나서는 이유가 바로 이 것이다. 중국은 본래 청나라까지 글로벌 경제를 주도하던 나라다.

아시아에서 중국을 통일한 제국은 주변국을 무력이 아닌 경제력으로 다스렸다. 몽골의 유민들이 명과 전쟁에서 이기고 바란 게 조공무역을 허락받는 일이었다.

조공을 바치고 황제를 섬길테니 무역할 수 있게 해달라는 것이었다. 그게 중국과 주변국의 관계였다. 

일본의 '정명가도'의 목적 역시 명을 복속시키겠다는 게 아니라, 명 황제에게 왕으로 인정받겠다는 것이었다. 

중국 시진핑 주석의 '중궈몽'은 바로 이 같은 중국의 영광을 되살리자는 것이다. 과거 아시아를 다스렸던 경제력을 갖추자는 것이다.

AI는 자연히 중궈몽을 실현시키는 가장 중요한 동력이 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AI만 10개 이상 개발돼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물론 AI라고 다 같은 AI가 아니다. 유럽을 중심으로 미국 쳇GPT에 대응하는 AI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AI가 가져올 사상적 통합에 대응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럼 중국에서 가장 주목 받는 AI서비스는 어떤 것일까? 1위는 KimiCHAT(키미챗)이었다. 10만자 이상의 문서를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거의 소설 한 권을 써주는 능력이다. 연산과 추론 능력 역시 수준급으로 인정 받고 있다. 

중국 AI 서비스 순위 Top 10을 살펴봤다.

 

1위 KimiCHAT

2위 Notion AI

3위 扣子(COZE)

4위 秘塔AI

5위 通义万象

6위 度佳

7위 Magic to do

8위 伽马

9위 通义听悟

10위 佐糖 (PicWish)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