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전기통신 총수익 전년동기 대비 3% 성장에 그쳐

 

 

'총 8,941억 위안'

한화로 약 170조 1,829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올 상반기 중국의 전기 통신 분야 총 수익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3% 증가한 수치다.

증가폭은 전분기 대비로 1.5%포인트(p) 줄었다.

중국 전기 통신 분야는 이제 성숙기에 접어든 것이다. 중국 매체들은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했다"고 평했다.

중국 매체들은 중국 공신부의 공식 통계를 인용해 이 같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국 전기 통신 업무 수익은 총 8,941억 위안(약 170조 1,829억 원)에 달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했으나, 증가율은 1분기 대비 1.5% p 감소했다.

전년도 불변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한 전기 통신 업무 총량은 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고정 인터넷 광대역 업무 수익이 안정적으로 증가했다고 전했다.

상반기 세 개의 주요 전기 통신 기업이 고정 인터넷 광대역 업무 수익은 1,365억 위안(약 25조 9,814억 원)을 달성하여,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했으며, 이는 전기 통신 업무 수익의 15.3%를 차지하여 1분기 대비 0.4% p 증가해 전기 통신 업무 수익 성장을 0.8% p 견인했다.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업무 수익은 소폭 감소했다. 상반기 세 개의 주요 전기 통신 기업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업무 수익을 3,280억 위안(약 62조 4,315억 원)을 달성하여,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했으며, 이는 전기 통신 업무 수익의 36.7%를 차지했다.

뉴 비즈니스 수익은 빠르게 증가했다. 세 개의 주요 전기 통신 기업이 IPTV, 인터넷 데이터 센터,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등 뉴 비즈니스를 적극적으로 발전시켜 상반기 동안 총 2,279억 위안(약 43조 3,784억 원)의 수익을 달성하여,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했으며, 이는 전기 통신 업무 수익의 25.5%를 차지하여 전기 통신 업무 수익 성장을 2.7%p를 견인했다. 그 중 클라우드 컴퓨팅과 빅데이터 수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3.2%와 58.6% 증가했고, 사물인터넷 업무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5% 증가했다.

음성 업무 수익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상반기 세 개의 주요 전기 통신 기업이 고정 음성 및 모바일 음성 업무 수익을 각각 96억 3,000만 위안(1조 8,329억 원)과 552억 4,000만 위안(10조 5,143억원)을 달성하여,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8% 증가와 3.4% 감소했으며, 이는 전기 통신 업무 수익의 7.3%를 차지해 전년 동기 대비 0.4%p 감소했다.

고정 광대역 접속 사용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기가비트 사용자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6월 말 기준으로 세 개의 주요 전기 통신 기업의 고정 인터넷 광대역 접속 사용자 총수는 6.54억 가구에 달해 전년 말 대비 1,810만 가구가 증가했다. 이 중 100Mbps 이상의 접속 속도를 가진 고정 인터넷 광대역 접속 사용자는 6억 2,000 가구로, 전체 사용자의 94.8%를 차지했으며, 1,000Mbps 이상의 접속 속도를 가진 고정 인터넷 광대역 접속 사용자는 1억 8,700 가구로, 전년 말 대비 2,416만 가구가 증가하여 전체 사용자의 28.6%를 차지했으며, 이는 1분기 대비 1.2% p 증가했다. 고속 사용자 증가에 힘입어 가구당 평균 접속 대역폭은 487.6Mbps/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7.9% 증가했다.

모바일 전화 사용자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5G 사용자 수는 빠르게 발전했다. 6월 말 기준으로 세 개의 주요 전기 통신 기업 및 중국 방송의 모바일 전화 사용자 총수는 17.77억 가구로 전년 말 대비 2,401만 가구가 증가했다. 이 중 5G 모바일 전화 사용자는 9.27억 가구로 전년 말 대비 1.05억 가구가 증가해 전체 모바일 전화 사용자의 52.4%를 차지했으며, 이는 1분기 대비 2.6% p 증가했다.

셀룰러 사물인터넷 사용자는 빠르게 증가하고, IPTV 사용자도 꾸준히 증가했다. 6월 말 기준으로 세 개의 주요 전기 통신 기업의 셀룰러 사물인터넷 단말 사용자 수는 25억 2,900 가구로 전년 말 대비 1억 9,700억 가구가 증가해 모바일 네트워크 단말 연결 수(모바일 전화 사용자와 셀룰러 사물인터넷 단말 사용자 포함)의 58.9%를 차지했다. IPTV 총 사용자 수는 4억 400만 가구로 전년 말 대비 387만 가구가 증가하였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