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트럼프 이상하쥬? 윤석열, 이재명은 이상하지 않나유?

우리는 모두 짖고 있지유 멍!.

‘멍~멍!’

개소리 한 번 하구유. 목 좀 푸는거유.

‘아~, 멍멍’

음. 잘 지냈남유.

덥지유. 답답허지유. 이 게 날씨 탓임감유? 세상 탓인감유? 참 덥고 짜증나고 답답혀유.

맞아유.

세상이 잘 안돌아가쥬? 뭔가 이상혀유.

사실 트럼프만 이상한 게 아녀유. 이재명이나, 윤석열이나 트럼프 못지 않게 ‘이상혀유’

참 이해가 안되쥬? 트럼프는 미국의 재벌 중 하나이쥬. 그런 사람이 왜 저렇게 이야기하고, 저렇게 사람들을 선동하나 싶쥬.

원하는 세상이, 그가 추종하는 ‘미국 제일주의’가 왜 그렇게 못 나보이는지.

트럼프 미국 제일주의는 간단해유. 미국인의 행복을 위해서 다른 나라 사람들은 양보해야 한다는 거쥬.

실은 트럼프가 못난 것도, 이상한 것도 바로 그 점이쥬.

다른 나라도 실은 트럼프처럼 생각허거든유. ‘내 행복을 위해 모두가 양보하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데 그 말조차 못혀유.

왜? 아니까, 나랑 남들이 같은 걸 아니까. 그래서 나만 좋자하고 하면 모두가 불편해지고, 결국 나 역시도 불편해지니까.

그런데 이 단순한 논리를 트럼프는 몰러유. 그리고 나대지요. 그래 미국의 많은 이들이 ‘이상하다’하는거유.

그럼 이재명, 윤석열은 어떨까유?

지금은 좋거지유. 둘 모두 정점에 있쥬. 한 사람은 나라의 모든 결정하는 위치에 있고, 다른 사람은 모든 걸 반대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게 좋은거유.

ㅋ 누가 결정하고, 누가 반대하는 걸까유? ‘멍~멍’ 알쥬? ㅋ

실은 그 둘만 모르는 것 같아유.

그래서 둘이 서로 싸워유. 내가 결정하고 네가 반대하는거 하는 식이쥬.

더 바보는 부화뇌동하는 이들이유.

참 이상혀쥬? 그들도 잘 배웠고, 세상에 출세한 이들인디 말유? 뭐 다 속내가 있겄쥬. 그쥬? 사람 속내를 알길이 있남유?

웃기지유?

어쨌든 우리 족속들이랑 너무 같아유. 짖고 몰려다니는 게, 짖는 소리만 다르쥬. 우리는 ‘멍~멍!’, 그들은 ‘....’ 소리만 다르지, 다 같은거유. ‘짖는거쥬’

아 하나 다른 듯 또 같은 게 있어유.

뭔가유? 우리도 짖어서 주인에게 밥을 얻고, 그들도 ‘짖어서’ 세금을 받아 쓴다는거쥬.

정말 다른 건, 우리는 짖어서 주인을 지켜주지만, 그들은 짖어서 주인을 해롭게 한다는 거쥬. 주인의 곳간을 축내고, 축내서 말이쥬.

그런데 어찌 ‘이상하다’하지 않다 할 수 있감유?

이상허쥬?

또 이상한 게 있어유? 그 이상한 걸 알고 어찌 참지유? 왜 화만 내쥬? 참 이상허쥬. 참 이상허유.

‘멍 멍’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