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학생수 줄어 대학 위기라는 평가에 중 네티즌, "교육시스템을 바꿀 때다"

 

저출생 현상으로 대학이 위기를 맞는 나라에 중국 포함되자, 중국 네티즌들 "좋은 대학은 여전히 들어가기 힘들다", "이제 교육시스템을 바꿀 때다"며 추세에 따른 변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유엔이 최근 발표한 인구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이탈리아, 한국, 스페인을 포함한 약 5분의 1의 국가와 지역이 현재 "초저출산율"에 직면해 있으며, 여성 한 명이 평생 낳는 자녀 수가 1.4명 미만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으로 중국, 독일, 일본, 러시아를 포함한 63개 국가와 지역의 인구가 이미 정점에 도달했으며, 향후 30년 내에 이들 국가와 지역의 총인구가 14%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은 2024년부터 2054년 사이에 가장 큰 인구 감소를 겪을 가능성이 있으며, 인구가 2.04억 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인구 감소 추세 속에서 대학들이 학생 모집 위기에 직면할 것인지에 대해, 올해 6월 광시사범대학교 당 위원회 서기 겸 교육학부 교수인 허쭈빈과 교육학부 연구 보조원인 궈차이칭이 공동으로 「저출산 추세 하에서 2024-2050년 고등교육 학생 모집 수요 예측과 위기 경고 - 중국 제7차 인구 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 논문을 발표했다.

위 연구는 중국 고등교육이 2038년경 역사적인 "학생 모집 전환점"을 맞이할 것이며, 그 시점에 학생 모집 수와 질의 위기가 발생하고 고등교육 생태계가 불균형해질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조치를 통해 사회 출산율을 크게 높이고, 자원을 절약하면서 학생 모집 공급 능력을 강화하며, 학생 모집 모니터링 및 위기 경고 메커니즘을 구축해 모집 규모와 생태계 수용력을 맞추어 고등교육의 학생 모집 공급과 수요의 더 높은 수준의 동적 균형을 실현해야 한다고 했다.

허쭈빈과 궈차이칭은 "공급 규모-수요 규모" 계산 공식을 사용하여 고등교육 학생 모집의 공급과 수요 격차 상황을 측정한 결과, 중국 고등교육이 2038년경 역사적인 "학생 모집 전환점"을 맞이하며, 학생 모집의 공급과 수요 관계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것에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것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는 PADIS—INT 국제 인구 예측 소프트웨어를 예측 도구로 사용하고, SPSS 27.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ARIMA 시계열 예측 모델을 구축해 2024-2050년 고등교육 학생 모집 수요 규모를 측정했다.

예측 결과에 따르면, 2024-2037년 동안 고등교육 학생 모집 공급 규모는 1585.02만 명에서 1460.26만 명으로 줄어들어 연평균 약 9.6만 명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교육 학생 모집 수요 규모는 1070.36만 명에서 1356.07만 명으로 증가하여 연평균 약 21.98만 명 증가해 514.66만 명에서 16.98만 명으로 수요 격차가 좁아질 것으로 나타났다.

2038-2050년 동안 고등교육 학생 모집 수요 규모는 1472.02만 명에서 1816.86만 명으로 증가할 것이며, 비관적 시나리오, 안정적 시나리오, 낙관적 시나리오 세 가지 상황에서 학생 모집 공급 규모가 각각 1198만 명에서 645.01만 명, 820.08만 명, 995.17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274.02만 명에서 각각 1171.85만 명, 996.78만 명, 821.69만 명의 공급 격차가 발생할 것이라고 했다.

이는 2038년부터 2050년까지 고등교육 학생 모집이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황에서 공급이 수요보다 부족한 상황으로 전환될 것이며, 공급과 수요 격차가 수요 격차에서 공급 격차로 전환되고, 그 격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임을 의미했다.

위 연구는 저출산과 고등교육 보편화가 공존하는 시대 배경에서 고등교육 규모의 과도한 확장과 적령 학생 수의 감소가 겹쳐 "학생 모집 위기"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학생 모집 질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는 학생 수가 감소할 때 일부 사립 대학과 전문대학이 학비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상황에서 경쟁적으로 입학 점수를 낮추어 더 많은 학생을 유치하려고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상황은 학생 모집 질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교육 및 인재 양성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또한, 학생 모집 공급이 감소하면 교육 자원의 낭비와 재정 위기, 교사 및 관리자의 직업 위기가 초래될 수 있으며, 일부 대학은 운영 악화로 인해 축소, 합병, 전환, 파산 등의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고 했다. 이는 "학생 수 감소 - 입학 점수 하락 - 학생 질 저하 - 교육 질 하락 - 모집 부족 - 생존 위기"의 악순환을 형성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된다면 고등교육 시스템에 들어오는 학생 수가 증가해 시스템 수용량이 커질 것이라고 했다. 한계치를 초과하면 고등교육 규모와 시스템 생태 수용력의 불균형을 초래해 고등교육 생태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연구는 2038년경 "학생 모집 위기"가 본격화되기 전에, 향후 14년간의 전략적 기회를 잘 활용하여 인구 예측을 통해 교육 전략 계획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고등교육 학생 모집 수요와 인구 공급의 적응성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