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내 힘과 도구, 모든 걸 쏟는 게 공(功)이다....

한자가 알려주는 성공의 비결

 

 

 

금은보화, 명예, 직위

이 모든 걸

한 번에

갖게 하는 게 있다.

 

‘성공’(成功)이다.

성공하면 원하는 걸 이룬다.

 

금은보화, 명예, 직위

원하는 걸 이룬 것,

그 것을 우린 성공이라 한다.

 

하지만 그 게 

성공은 아니다.

정확히는 

성공이 아니고 

성공의 결과다.

 

사람들이

성공을 좋아하는 건

좋은 결과 때문이다.

금은보화, 명예, 직위 

이런 게 좋은 게다. 

 

하지만 성공은 그게

아니다. 

금은보화, 명예, 직위

그게 성공이

아니라는 말이다. 

 

진정한 성공(成功)은 

말 그대로다.

공(功)을 이루는 것(成)이다.

 

그럼 공(功)이란 무엇인가?

공을 이루는 게 성공인데,

어떻게해야 공을 이루는 것일까?

 

역시 한자 공(功)에 

숨은 뜻이 있다. 

공이라는 한자는

비교적

일찌감치 쓰였다.

 

갑골문자에 나온

공(工)과 력(力)이 만든

회의자 겸 형성자다.

 

 

기록상 등장은

소전체에서 나온다.

소전은 진의 글씨다.

 

자형은 단순하지만,

그 의미가 깊다.

 

공(工)은 기술을 의미하고

력(力)은 쟁기로 발현되는 힘을 뜻한다.

 

둘 모두가 인간이 

자연에 인간의 힘을 더해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이 자연에 새롭게 가치를 

더하는 것 

그 것이 바로 

공(功)인 것이다. 

 

세상 만물 가운데

자연을 빼고

세상에 가치를 만드는

유일한 존재가

사실 우리 ‘인간’이다.

 

다만 그 것이 

인간만을 위한

가치라는 게 아쉬움이다. 

 

인간을 뺀 

동물, 식물 모든 자연의 생물은 

살아서도 죽어서도

자신만을 생각하고 

자신만을 위하지만 

 

다른 생명을 위해 살고

다른 생명을 위해 죽는다.

 

그래서 사람이 이룬 공이 

사람만 위하지 않고

자연의 모든 것을 위할 수 있다면 

그 게 '진정한 성공'이 아닐까?

 

성현들의 고민이었다.

그래서 "공에 머물지 말라"한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