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현급 도시 GDP 1위는 장쑤성 쿤산시...5000억 위안 돌파

 

중국의 기본적인 사고 방식을 ‘축’과 ‘강목’(綱目)이라고 한다. 축은 사물을 꿰뚫는 본질, 즉 뼈이며, 강목을 그 본질을 둘러싼 근육이다. 사물은 그렇게 뼈와 근육이 있어 움직이는 것이고, 이 같은 강목 사상을 통해 사물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게 바로 중국의 전통적인 사고 방식이다.

강목사상은 본래 주희가 성리학을 집대성하면서 정리했다고 한다. 주희가 사서 ‘자치통감’을 정리하면서 강과 목으로 나눠 내용을 정리해 나온 말이다.

하지만 중국의 강목 사상은 이미 제자백가 시절부터 큰 틀에서 정리가 완성된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노자의 ‘도덕경’ 속에서도 이 같은 강목 사상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하늘의 도는 그물처럼 성글지만 빈틈이 없다는 데 우주의 원리가 강목 사상으로 정리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강목사상은 흔히 그물망에 비유된다. 그물의 눈들을 파악해 그물의 전체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축은 굳이 비견하자면 그물을 지탱하는 큰 막대에 비견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중국에서도 이 같은 강목 사상의 발전관이 나타난다. 덩샤오핑이야 말로 이 사고 방식을 DNA 속에 갖춘 인물이 아닌가 싶다.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방식에는 이 같은 축과 강목사상의 발전관이 녹아 들어 있다. 텐트를 칠 때, 혹은 그물을 칠 때 주요한 그물 눈만 들어올리듯 중국 개혁개방은 거점 도시의 발전에서 시작하도록 구상됐다. 덩샤오핑의 ‘선부론’이 바로 그것이다. “먼저 능력 있는 이들이 부자가 돼 나머지를 부자가 되도록 이끌라”, 바로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일성이었다. 국가 전체로는 처음 베이징, 상하이 등 성급 도시들이 발전하기 시작했고, 그 뒤를 주요 성들의 성도들이 따랐다. 소위 1선 도시, 2선 도시, 3선 도시들이다.

이제 개혁개방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현급 발전이 중국 당국의 화두다. 개혁개방의 실질적 완성단계에 들어가기 위해서 현급에서 생산되는 부가가치가 늘어야 하는 것이다. 중국 당국은 현급 도시들의 발전에 힘썼고, 그 결과가 마을 단위 기업들이 중국 500대 기업 중 하나로 등장하는 사례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중국은 국내총생산(GDP)는 약 18조 달러에 이른다. 미국의 뒤를 이어 부동의 세계 2위다. 하지만 미국은 이 같은 부가가치 생산을 글로벌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다. 지역 연계는 기업의 헤드쿼터가 거주하는 정도다.

중국처럼 현급 도시들이 나서 기업을 만들고, 그 부가가치를 키워가는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자연히 미국은 부자는 그냥 부자일 뿐 지역과의 밀착도는 중국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반면 중국식 발전은 지역과 기업이 하나인 방식이어서 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면 마을 전체가 글로벌 기업의 주요 주주로 부자가 되는 결과가 나온다.

물론 미국식이 옳은 지, 중국식이 옳은 지 결과는 두고 봐야 할 일이다. 미국식은 전통 자본주의 방식으로 그 운행방식이 어느 정도 증명됐지만, 중국식 방식은 아직 실험 단계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중국 현 단위 도시들의 부가가치 생산은 빠르게 늘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의 부가가치 생산 톱 10 현급 도시들을 살펴봤다.

1위는 쿤산시가 차지했다. 상하이 서북쪽 장쑤성 쑤저우시에 속한 현급 시다. 지역생산 총액은 5140억 6000만 위안에 달했다. 이는 2위 장인시의 4960억 5100만 위안보다 2000만 위안 가량 많은 수치다. 

 

1위 쿤산시

2위 장인시

3위 장자강시

4위 진장시

5위 창수시

6위 츠시시

7위 선무시

8위 이싱시

9위 장사시

10위 이우시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