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1억 달러'
한화로 약 79조 8,428억 원가량의 돈이다. 중국이 올 상반기 아프리카에서 수입한 수입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14% 증가한 규모다.
중국은 이 같은 경제교류를 통해 아프리카 각국을 중국의 영향권내 묶어두고 있다.
'2024년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 정상회의'를 앞두고 중국 당국은 기자회견을 열고 중국과 아프리카 간의 경제 교류 현황을 밝혔다.
이번 정상회의는 9월 4일부터 6일까지 베이징에서 열린다.
탕원홍 부장조리는 이에 대해 "중국은 아프리카로부터의 수입 확대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자국의 초대형 시장의 이점을 충분히 발휘해 아프리카를 포함한 각국 기업에게 넓은 시장 공간과 협력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탕 부장조리에 따르면 아프리카로부터의 농산물 수입 금액이 7년 연속 증가했다고 밝혔다. 아프리카 농산물은 중국 당국이 수년전 수입을 허용했다.
중국 당국에 따르면 지난 2023년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부터의 신선한 배 수입 규모가 전년 대비 1,733% 증가했고, 케냐로부터의 아보카도 수입 규모가 전년 대비 624% 증가했다.
중국과 아프리카 간의 협력은 지난 2021년,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 제8차 장관급 회의 개막식에서 발표한 '9대 프로젝트'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탕 부장조리는 2023년 중국-아프리카 무역액이 2,821억 달러(약 374조 7,980억 원)에 달했으며, 2021년 대비 약 11% 증가해 2년 연속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말했다.
탕 부장조리에 따르면 023년 말 기준으로 중국의 대아프리카 직접투자 잔액이 400억 달러(약 53조 1,440억 원)를 초과했다.
탕 부장조리는 최근 "투자 빚을 내 아프리카를 속국으로 만들고 있다"는 일부 서방의 비판과 관련, 국제통화기금(IMF) 통계를 인용하며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발표한 2023년 국제 부채 통계 자료에 따르면 상업 채권과 다자간 부채가 아프리카 외채 총액의 66%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아프리카 양자간 부채는 외채 총액의 11%에 불과하다
탕 부장 조리는 "중국이 결코 아프리카 부채의 주요 채권자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