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소비촉진 재정 정책으로 지난 8월 각 부분 소비 두자릿수 증가

 

중국의 지난 8월 승용차 소매 판매가 전년동기 대비 10% 이상 늘었다. 중국은 세계 최대 단일 자동차 시장이다. 갈수록 그 규모를 키우는 모습이다.

최근 중국 자동차 브랜드사들은 내수 시장의 성장을 기반으로 해 글로벌 공략에 적극 나서는 모양새다.

 

30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재정부는 최근 공동으로 ‘대규모 장비 교체 및 소비재 교환 지원 강화에 관한 여러 조치’ 이후 정책 효과와 관련한 현황 발표를 했다.

중국 당국은 당시 ‘두 가지 신(新)’ 정책을 내놓으면서 전면적인 재정확대로 소비진작에 나섰다.

 

자오천신 개혁위원회 부위원장은 앞서 23일 가진 특별 기자회견에서, 각 방면의 공동 노력에 힘입어 "두 가지 신(新)" 작업이 점진적으로 뚜렷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그 효과는 계속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첫번째 정책 성과로 투자 성장을 견인했다는 점을 꼽았다. 실제 올 첫 8개월 동안 장비 및 도구 구매 투자는 16.8% 증가했다. 이는 전체 고정 자산 투자(농가 제외)보다 13.4% 높은 증가율이다.

이에 전체 투자 성장 기여율은 64.2%에 달했다. 이는 7월보다 3.5%p 상승한 것이다.

소비재 구매촉진책을 통해 자동차 등 주요 소비재 판매가 뚜렷하게 증가했다. 중국 자동차 유통 협회에 따르면, 8월 전국 승용차 소매량은 190.5만 대로 전월 대비 10.8% 급증했다. 특히 신에너지차의 소매량이 102.7만 대로 전월 대비 17% 급증했다.

또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가전제품과 음향기기 소매액은 8월에 전년 동월 대비 3.4% 증가했다. 플랫폼과 매장의 상황을 보면, 최근 가전제품 교환 소비가 급격히 증가했으며, 8월 26일부터 9월 21일까지 징둥(JD) 플랫폼에서 냉장고, 세탁기, TV, 에어컨, 컴퓨터 등의 가전제품 판매액이 각각 128.8%, 86.3%, 130.6%, 240.5%, 52.2% 증가했다.

 

또한 9월 1일부터 21일까지 쑤닝 이고우(Suning)의 전국 매장 방문자 수는 두 배로 증가했다. 컴퓨터와 에어컨의 판매액은 각각 300%, 100% 증가했다.

이 같은 소비재 산업의 성장은 공급 부문 성장을 자극했다. 교통 및 통신 장비 교체와 같은 주요 분야에서 8월에 선박 및 관련 장치, 도시 철도 교통 장비, 통신 장비 등의 제조업 생산이 각각 23%, 17.1%, 10.3% 증가했다.

또 가정용 세탁기, 스마트 TV, 가정용 냉장고 등 제품의 생산량도 빠르게 증가했다. 더 나아가 많은 기업들이 "두 가지 신(新)" 분야의 발전 전망을 낙관적으로 보고 장비 제조 및 소비재 생산 등의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올해 첫 8개월 동안 장비 제조업, 소비재 제조업, 원자재 제조업 투자는 각각 10%, 14.9%, 9% 증가했다.

오래된 사회 인프라 교체 작업도 활발히 진행됐다. 첫 8개월 동안 시정 건설과 밀접하게 관련된 전력, 열, 가스 및 수도 공급업 투자는 23.5% 증가했다. 또한, 교육, 의료, 문화 및 관광 등의 공공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 분야 장비 갱신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스마트 문화 관광 등의 개선이 전면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8월에는 신에너지차와 충전소의 생산량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0.5%와 97% 증가했으며, 신에너지차 보급률은 53.9%에 달하여 두 달 연속 50%를 초과했다. 에너지 절약형 가전제품의 소매도 빠르게 증가했으며, 8월 26일부터 9월 8일까지 전국 1급 에너지 효율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TV, 가스 온수기의 온라인 판매액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54.6%, 140.2%, 31.8%, 396.2%, 78.41% 증가했으며, 이러한 증가율은 동일 품목의 가전제품 전체 수준을 훨씬 웃돌았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