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지난해 R&D 투입 총 3조 3,357억 1000만 위안(약 627조 9,474억 원)

 

중국이 지난 2023년 한해 전국에서 연구개발(R&D)에 투입한 경비만 3조 위안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동기 대비 8%가 훌쩍 넘는 수치다.

중국의 ‘기술 굴기’가 지속되는 이유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은 시진핑 주석 취임이래로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연구소’로 거듭나고 있다.

전기차와 배터리, 반도체와 AI 등의 분야에서 세계 최고인 미국에 버금가는 논문 발표율을 기록하고 있다.

7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국가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전국 과학기술 경비 투입 통계 공보’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전국의 연구 및 실험 개발(R&D) 경비 투입액은 3조 3,357억 1000만 위안(약 627조 9,474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2,574.2억 위안(47조 9,510억 원) 늘어난 것으로 전년보다 8.4% 증가한 수치다.

연구 및 실험 개발(R&D) 경비 투입 강도(국내총생산 대비 비율)는 2.65%로, 전년보다 0.09%p 상승하였다. 연구 및 실험 개발(R&D) 인원의 전일제 근무량을 기준으로 산정한 1인당 경비는 46.1만 위안이었다.

2023년 국가 재정의 과학기술 지출은 11,995.8억 위안(225조 8,209억 원)으로, 전년보다 867.4억위안(16조 3,288억 원)  증가하여 7.8% 성장하였다. 이 중 중앙 재정의 과학기술 지출은 3,973.1억 위안으로 전국 재정 과학기술 지출의 33.1%를 차지하였고, 지방 재정의 과학기술 지출은 8,022.7억 위안(약 151조 273억 원)으로 66.9%를 차지하였다.

2023년, 전국 연구 및 실험 개발(R&D) 경비 투입은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하였고, 투입 강도 또한 꾸준히 상승하였다. 기초 연구 투입에서는 새로운 진전을 이루었으며, 국가 재정의 과학기술 지출도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유형별로 보면, 전국 기초 연구 경비는 2,259.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6% 증가하였고, 응용 연구 경비는 3,661.5억 위안(약 68조 9,277억 원)으로 5.1% 증가하였다. 실험 개발 경비는 27,436.5억 위안(약 516조 4,921억 원)으로 8.5% 증가하였다. 기초 연구 경비의 비중은 6.77%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증가하였고, 응용 연구와 실험 개발 경비의 비중은 각각 11.0%와 82.2%를 차지하였다.

기관별로 보면, 각종 기업의 연구 및 실험 개발(R&D) 경비는 25,922.2억 위안(약 487조 9,854억 원)으로 전년 대비 8.6% 증가하였으며, 정부 소속 연구기관 경비는 3,856.3억 위안으로 1.1% 증가하였다. 고등 교육기관 경비는 2,753.3억 위안(약 51조 8,308억 원)으로 14.1% 증가하였고, 기타 주체의 경비는 825.3억 위안(약 15조 5,362억 원)으로 21.8% 증가하였다. 기업, 정부 소속 연구기관, 고등 교육기관 경비 비중은 각각 77.7%, 11.6%, 8.3%를 차지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연구 및 실험 개발(R&D) 경비 투입이 1,000억 위안(약 18조 원)을 초과한 성(직할시)은 12개이었다.

구체적으로 광둥(4,802.6억 위안/약 90조 4,089억 원), 장쑤(4,212.3억 위안/약 79조 2,965억 원), 베이징(2,947.1억 위안/약 55조 4,791억 원), 저장(2,640.2억 위안/약 49조 7,017억 원), 산둥(2,386.0억 위안/약 44조 9,164억 원), 상하이(2,049.6억 위안/약 38조 5,837억 원), 후베이(1,408.2억 위안/약 26조 5,093억 원), 쓰촨(1,357.8억 위안/약 25조 5,605억 원), 후난(1,283.9억 위안/약 24조 1,694억 원)을 기록했다.

또 안후이(1,264.7억 위안/약 23조 8,079억 원), 허난(1,211.7억 위안/약 22조 8,102억 원), 푸젠(1,171.7억 위안/약 22조 572억 원) 등을 기록했다.

연구 및 실험 개발(R&D) 경비 투입 강도(지역총생산 대비 비율)가 전국 평균을 초과한 성(직할시)은 베이징(6.73%), 상하이(4.34%), 톈진(3.58%), 광둥(3.54%), 장쑤(3.29%), 저장(3.20%), 안후이(2.69%) 순이다.

2023년, 국가 재정의 과학기술 지출은 11,995.8억 위안(약 225조 8,209억 원)으로 전년 대비 867.4억 위안(약 16조 3,288억 원) 증가하여 7.8% 성장하였다. 이 중 중앙 재정의 과학기술 지출은 3,973.1억 위안(약 74조 7,936억 원)으로 전국 재정 과학기술 지출의 33.1%를 차지하였으며, 지방 재정의 과학기술 지출은 8,022.7억 위안(약 151조 273억 원)으로 66.9%를 차지하였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