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올 9월 중국 원자재 가격 하락폭 줄이거나 상승 반등...경기침체 우려 불식하나 주목

9월 중국내 비철금속 등 원자재 가격이 하락폭을 줄이거나 하락세를 멈추고 상승 반등으로 추세 전환했다.

원자재 가격 하락은 중국 경제 침체가 예상되면서 원자재 소비가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 탓이었다. 원자재 가격 반등은 그만큼 실질 원자재 소비가 늘고 있다는 의미여서 주목된다.

 

중국 물류 및 구매 연합회가 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9월 중국 대종 상품 가격 지수(CBPI)가 110.1포인트를 기록해 전월 대비 소폭 0.2% 하락하고, 전년 동기 대비 6.7% 하락했다고 했다.

지수 운영 상황을 보면, 9월 CBPI는 시장 수요 회복과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및 지급준비율 인하 등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대종 상품 가격이 저점에서 반등하여, 지수 하락폭이 전월 대비 3.4%p 크게 축소되었다고 했다.

산업별로 보면, 비철금속 가격 지수가 하락을 멈추고 반등하여 124.7포인트를 기록해 전월 대비 1.8% 상승했다고 했고, 농산물 가격 지수는 소폭 하락하여 94.8포인트를 기록해 전월 대비 1% 하락했다고 했다. 광물 가격 지수는 다시 하락하여 79.5포인트를 기록해 전월 대비 1.4% 하락했다고 했으며, 에너지 가격 지수는 계속 하락하여 103.6포인트를 기록해 전월 대비 3.8% 하락했다고 했다.

상품별로 보면, 중국 물류 및 구매 연합회가 중점적으로 모니터링한 50종의 대종 상품 중 이번 달 가격이 전월 대비 상승한 상품은 14종(28%)이고, 하락한 상품은 36종(72%)이었다고 했다. 9월 30일 기준, 42종의 대종 상품 가격이 월 내 저점보다 높았다고 했다.

 

9월 상승폭 상위 3종의 대종 상품은 천연가스, 산화 프라세오디뮴-네오디뮴, 천연고무로 각각 전월 대비 10.3%, 9.4%, 6.2% 상승했다. 하락폭 상위 3종의 상품은 유리, PTA(정제 테레프탈산), 코크스로 각각 전월 대비 12.6%, 11.4%, 9.3%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4분기에는 기업 생산 및 경영 활동이 회복되고, 시장 신뢰가 강화되며, 통화 및 재정 정책의 역주기 조절 강도가 커지면서 경제가 안정되고 개선될 기반이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고 분석했다.

국내외 대종 상품 지수의 흐름을 보면, 글로벌 통화 정책이 긴축 주기에서 완화 주기로 전환되면서 시장 수요가 확대되고, 기업 투자가 촉진되며, 대종 상품 가격에 지지를 형성할 전망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