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올 1~8월 올해 스마트폰 생산만 10억 1500대 기록...전자 정보 제조업 부가가치 동기 대비 13.1% 증가

 

중국의 올 1~8월 스마트폰 생산량만 7억 5000만 대를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스마트폰을 비롯한 중국의 IT제조업 부가가치는 전년동기 대비 13%이상 두자릿수 증가세를 시현했다.

 

미국의 강력한 제재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IT굴기'가 지속되고 있어 주목된다. 

 

11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신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데이터를 공개했다.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올 1월부터 8월까지 중국 IT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13.1%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산업 성장폭보다 7.3%p, 일반 첨단기술 제조업 성장율보다는 4.2%p 높은 것이다. 

 

8월 한 달 동안 규모 이상의 전자 정보 제조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11.3% 증가하였다.

주요 제품을 보면, 휴대폰 생산량은 10억 1,500만 대로 전년 대비 8.8% 증가했다. 스마트폰 생산량은 7억 5,100만 대로 전년 대비 10.4% 늘었다.

 

미니 컴퓨터 장비의 생산량은 2억 1,700만 대로 전년 대비 2.9% 증가하였고, 집적회로 생산량은 2,845억 개로 전년 대비 26.6% 증가하였다.

 

올 1월부터 8월까지 규모 이상의 전자 정보 제조업의 수출 인도액은 전년 대비 1.2% 늘었다.

이는 지난 1월부터 7월까지의 증가율보다 0.6%p 증가한 수치다. 8월 한 달 동안 규모 이상의 전자 정보 제조업의 수출 인도액은 전년 대비 3.4% 늘었다.

 

세관 통계에 따르면, 1월부터 8월까지 중국은 노트북 컴퓨터 9,434만 대를 수출하여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휴대폰은 4억 9,800만 대를 수출, 전년 대비 4.6% 늘었다. 집적회로는 1,933억 개를 수출하여 전년 대비 10.5% 증가하였다.

 

이 같은 매출 호조에 1월부터 8월까지 규모 이상의 전자 정보 제조업은 9조 9,400억 위안(약 1,888조 5,006억 원)의 영업 수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7.7% 증가한 수치다. 다만 1월부터 7월까지의 증가율보다는 0.2%p 하락하였다.

 

영업 비용은 8조 6,800억 위안(약 1,649조 1,132억 원)으로 전년 대비 7.4% 늘었고 총 이익은 3,928억 위안(약 74조 6,28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1% 증가하였다.

영업 수익률은 4.0%로, 1월부터 7월까지의 수익률보다 0.1%p 상승하였다.

8월 한 달 동안 규모 이상의 전자 정보 제조업 영업 수익은 1조 3,200억 위안(약 250조 7,868억 원)으로 전년 대비 6.2% 증가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1월부터 8월까지 규모 이상의 전자 정보 제조업 동부 지역의 영업 수익은 6조 9,927억 위안(약 1,328조 5,43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7% 증가했으나, 1월부터 7월까지의 증가율보다 0.3%p 하락하였다.

 

중부 지역의 영업 수익은 1조 5,863억 위안(약 301조 3,811억 원)으로 전년 대비 8.4% 증가하여, 1월부터 7월까지의 증가율보다 0.1%p 상승하였다.

서부 지역은 1조 3,047억 위안(약 247조 8,799억 원)의 영업 수익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5.8% 감소하였으며, 1월부터 7월까지의 감소율보다 0.4%p 더 하락하였다.

 

동북 지역은 573억 위안(약 10조 8,864억 원)의 영업 수익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5% 감소하였고, 이는 1월부터 7월까지의 감소율보다 0.1%p 더 하락한 수치이다. 8월 한 달 동안 동부 지역의 영업 수익은 9,332억 위안(약 177조 2,986억 원)으로 전년 대비 8.9% 증가하였으며, 중부 지역은 2,140억 위안(약 40조 6,578억 원)으로 전년 대비 8.8% 증가하였다. 서부 지역은 1,633억 위안(약 31조 5,953억 원)으로 전년 대비 8.4% 감소하였고, 동북 지역은 66억 위안(약 1조 2,53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 감소하였다.

 

1월부터 8월까지 규모 이상의 전자 정보 제조업에서 징진지(京津冀) 지역은 5,354억 위안의 영업 수익을 기록하여 전년 대비 15.5% 증가하였으나, 1월부터 7월까지의 증가율보다 0.5%p 하락하였고, 이는 전국 총 영업 수익의 5.4%를 차지한다. 장강 삼각주 지역은 2조 7,996억 위안(약 531조 8,960억 원)의 영업 수익을 기록하여 전년 대비 7.9% 증가했으며, 이는 1월부터 7월까지의 증가율보다 0.1%p 하락하였고, 전국 총 영업 수익의 28.2%를 차지한다.

 

투자 면에서 보면, 1월부터 8월까지 전자 정보 제조업의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대비 14.2% 증가하여, 1월부터 7월까지의 증가율보다 0.3%p 하락하였으나, 같은 기간 전체 산업과 첨단 기술 제조업 투자의 증가율보다 각각 2.1%p, 4.6%p 높았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