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친구여, 은하수 저편에서 우리 다시 보자구나.

 

“舉杯邀明月,對影成三人”

(거배요명월, 대영성삼인)

 

“술 잔 들어

달 부르니,

그림자까지

셋이 됐네”

 

요정의 나라는

어린이 꿈에만 있는 게 아니다.

순수한 사람라면

누구에게든 있다.

 

요정을 부르는 마법도

동화 속에만 있는 게 아니다.

 

현실 속

술 한 잔은 요정의 세계로 가는 마법이 된다.

 

이백의 시다.

가장 유명한 시다. 한 번도 못 들어본 이는 있어도 한 번만 읽은 이는 없다는 시다. 이백의 ‘월하독작’(月下獨酌)이다.

‘달 빛 아래 혼술’이다. 혼자 마시는 술이다.

본래 동양에선 ‘독작’(獨酌)이라 했다.

 

혼자 마시는 술은

외로워 마시는 술이다.

처량한 술이다.

 

혼자 취해

이리 비틀, 저리 비틀

추태를 부리기 일쑤다.

 

그래서 외로워

마시는 술은

사람을 더 외롭게 한다.

 

이런 외로움을 시인

이백은 요정의 시공 속으로 가는

마법으로 풀어낸다.

 

소개한 구절은 바로

꽃밭이 요정의 마법 세계로 변하는

주문이다.

 

술잔을 들어

달에게

이 주문을 외우면

 

달의 요정이

화답을 하고,

그림자가 살아 움직인다.

 

다시 이백의 월하독작이

살아 움직인다.

 

“꽃 속에 따른 한잔 술

홀로면 어떠랴,

저 달, 내 그림자 있는데

 

술 잔 들어

달 서생과 건배하고

술 잔 내려

그림자와 건배하면

 

나 혼자가

어느새

우리 셋이 된다네.

 

술잔만 부딪치는

달 서생.

나랑 그림자만 취했네.

 

이리 비틀

저리 비틀

그림자 나를

따라 춤추고”

 

“花間一壺酒(화간일호주),獨酌無相親(독작무상친)。

舉杯邀明月(거배요명월),對影成三人(대영성삼인)。

月既不解飲(월기불해음),影徒隨我身(영도수아신)。”

 

 

맑고 담백하며

순수한 시어들은

독자를 마법 속으로

끌어 들인다.

 

하지만 신데렐라 동화처럼

모든 마법은

시간의 한계가 있는 법,

 

월하독작의 마법은

새벽 해다.

여명과 함께 마법은

조금씩 그 마력을 잃어간다.

 

“어느새 봄밤 새고

웃음도 지치는데

 

그림자야

이젠 그만

저 달이랑 놀으렴.

 

새벽 여명

밝아오니

술기운 가시고

 

취해 즐거웠던

달 친구

그림잔 어딜 갔나?

 

무심한 저 하늘

은하수 저편에서

우리 다시 볼까.”

 

“暫伴月將影(잠반월장영),行樂須及春(행락수급춘)。

我歌月徘徊(아가월배회),我舞影零亂(아무영령란)。

醒時同交歡(성시동교환),醉後各分散(취후각분산)。

永結無情遊(영결무정유),相期邈雲漢(상기막운한)。”

 

결국 마법이 끝이 났다.

시인은 아쉽기만 하다.

빈 잔을 들고 묻는다.

 

“친구들아, 우리 언제 다시 만날까?”

 

 

마치 달과 그림자가

저 멀리서

웃는 듯싶다.

마지막 싯구는

마치 달과 그림자의 답과 같다.

 

“永結無情遊, 相期邈雲漢”

(영결무정유, 상기막운한)

 

“저 무심한 하늘엔

또 밤이 오고

은하수 뜨겠지.

그럼 그 때 보자.”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