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 피지와 미군 주둔을 위한 소파협정 논의 시작...남 태평양에 미군사력 증대 신호탄

미국이 피지에 주둔 병력을 늘리는 것을 추진하고 있어 주목된1다.

피지는 뉴질랜드 위 쪽에 위치한 남태평양 섬 국가다. 이 곳의 미군이 늘면 남태평양 일대에 대한 미 군사력 증강을 의미한다.

결국 중국을 겨냥한 조치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25일 미국의 소리 중국어 서비스 등에 따르면 미국과 피지는 미군의 주둔을 늘릴 수 있는 주요 협정을 포함하여 양국 군사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대화를 시작했다.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인도-태평양 지역 순방의 종착지인 피지를 방문한 최초의 현직 미국 국방장관이다. 그는 앞서 호주, 필리핀, 라오스를 방문했고, 호주-미-일 3국 국방장관 회담, 아세안 국방장관 회담 플러스에 참석, 동남아 국가 국방장관들을 만났다.

 

미국의 소리는 오스틴 장관이 미국과 피지가 주둔군지위협정(SOFA)에 관한 협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SOFA는 미국이 "피지를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배치하고 동원"할 수 있도록 하고 양측에 "강화된 (합동)훈련"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스틴 장관은 비티레부(Viti Levu) 섬의 나디(Nadi)에서 시티베니 라부카(Sitiveni Rabuka)피지 총리와 가진 기자회견에서 "(협정은) 우리(미군)가 피지군과 함께 더 많은 정규 훈련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라부카는 전 군사령관 출신이기도 하다.

 

SOFA는 외국에서 근무하는 미군에 대한 규칙을 정하는 법적 문서다. 미 국무부에 따르면 미국은 현재 100개 이상의 국가와 유사한 협정을 체결했다.

 

오스틴 장관은 다만 미국은 피지 제도에 영구 군사 기지를 설립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그는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그런 논의를 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미국 국방부는 성명을 통해 피지의 군사 현대화를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안보 지원에 490만 달러를 약속했다고 밝혔다. 현재 이 지원안은 미 의회 승인을 기다리는 상황이다.

미국과 피지는 또한 연료 및 의료용품의 효율적인 운송은 물론 비상시 유지관리 시설에 대한 접근을 포함하여 양국간 물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ACSA(Acquisition and Cross-Services Agreement) 협약도 체결했다.

라부카 총리는 오스틴 장관의 방문이 "미국과 피지 관계의 역사적인 순간"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트럼프 행정부 출범이후에도 양국의 협력이 지속되길 희망했다. 오스틴 장관은 미국과 피지의 긴밀한 관계가 "정부의 변화 이후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답했다.

 

피지는 322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구가 약 100만 명에 달하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남태평양 군도 국가다.

앞서 피지는 올 3월 중국과는 경찰 협력 협정을 맺었다. 이번 미국과 군사협정을 논의하면서도 피지는 1년여에 걸친 안보 검토 끝에 올해 3월 중국과 경찰 협력 협정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미국과 중국 앞다퉈 피지에 대한 영향력을 높이려 하고 있는 것이다.

라부카 피지 총리는 올 8월에는 10일간 베이징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리창 총리를 만나 무역, 인프라, 중국 교육 등을 다루는 일련의 양자 협정을 체결하기도 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