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증 올 1~10월 서비스 무역 동기 대비 14.6% 증가

‘6조 1,255억 위안’

한화로 약 1,189조 6,946억  원 가량이다. 올 1~10월 중국의 서비스 출입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성장율이 15%에 육박한다.

중국 서비스 산업 성장세가 무섭다. 서비스 산업은 산업 생태계의 상부에 있는 산업이다. 산업 생태계가 고도화 할수록 서비스산업의 규모 역시 커진다.

하지만 중국의 서비스 산업은 여전히 수입이 수출보다 크다. 중국의 대표적인 적자 산업이다.

6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최근 서비스 산업 수출입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올 1~10월 동안 중국의 서비스 무역 수출입 총액은 6조 1,255억 위안(약 1,189조 6,946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6% 증가한 수치다.

중국 서비스 산업 규모가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서비스 산업의 수출은 2조 5,449억 위안(약 494조 2,704억  원)으로 16.6% 증가했다. 수입은 3조 5,806억 위안(약 695조 4,241억  원)으로 13.2% 늘었다. 이에 서비스 무역 적자는 1조 357억 위안(약 201조 1,536억  원)을 기록했다.

지식집약형 서비스 무역은 지속적으로 성장했다. 올 1~10월 동안 지식집약형 서비스 수출입액은 23,616억 위안으로 5.9% 증가했다.

이 중 지식집약형 서비스 수출은 1조 3,417억 위안(약 260조 5,849억  원)으로 5.7% 늘었다. 개인 문화 및 오락 서비스와 통신, 컴퓨터 및 정보 서비스의 증가율이 각각 38.7%, 8.6%로 비교적 빠르게 나타났다.

지식집약형 서비스 수입은 1조 199억 위안 (약 198조 849억 원)으로 6.1% 증가했으며, 개인 문화 및 오락 서비스와 기타 비즈니스 서비스가 각각 34.2%, 11.5%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여행 서비스는 급격히 성장했다. 1~10월 동안 여행 서비스는 계속해서 고속 성장을 유지했으며, 수출입 총액은 1조 6,709억 위안(약 324조 5,221억 원)으로 41.2% 증가하여 서비스 무역의 최대 분야로 자리 잡았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