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5년 글로벌 경제 전망 2]유럽 최대 배터리 회사 노스볼트의 몰락...오징어 게임의 시작이다

최근 독일 등 유럽에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스웨덴 배터리 스타트업 노스볼트(Northvolt)가 결국 부도를 냈다는 소식이다.

노스볼트는 지난 2016년 설립됐다. 유럽 최대의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독일 등 자동차 강국들이 몰려 있는 유럽에서 유럽형 전기차의 미래를 책임질 기린아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결국 이 꿈이 일단 좌절된 것이다. 한국, 중국 등 아시아 각국과 경쟁에서 견디지 못한 탓이다.

 

2025년 글로벌 기업들이 처한 상황을 웅변적으로 보여준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독일은 노스볼트에 가장 놀란 나라 중 하나다. 독일이야 말로 전통적인 자동차의 최강국이다. 벤츠와 BMW, 포스바겐 등 유수의 최고급 자동차 브랜드 제조사들을 보유하고 있다.

문제는 미래 모빌리티로 꼽는 전기차 시장이었다. 독일은 전기차에서 기술과 생산력에서 이미 한국은 물론, 중국 등에게도 뒤지기 시작했다는 신호들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을 역전시킬 기린아가 바로 노스볼트였다. 전기차 제조 기술은 따라 잡을 수 있지만, 전기차의 핵심인 배터리를 아시아, 특히 중국에 의존해서는 답이 없다는 것을 독일 스스로가 잘 알고 있는 것이다.

 

노스볼트에 독일 정부가 어느 정도 정성을 기울였는지 그동안 행동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지난 2023년 2월, 독일 부총리이자 연방 경제부 장관인 하벡은 노스볼트 배터리 공장을 방문하기 위해 스웨덴의 뷔스테타스 마을로 찾았다.

그리고 그 결과로 지난 3월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하이데에 노스볼트의 '슈퍼팩토리'가 착공됐다. 당시 약 3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됐다.

독일 정부는 이 계획의 실현을 위해 노스볼트에 6억 유로의 지원을 감행했다.

 

이 때만해도 노스볼트의 야심은 유럽 많은 나라들의 기대를 모았다. 노스볼트는 전기 자동차와 같은 미래 기술에서 중국 생산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유럽에서 솔루션을 찾으려는 것이었다. 이는 하벡의 생각과도 일치하는 것이었다.

특히 하벡은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출신이기도 했다. 독일의 상대적으로 취약한 경제 지역에 이런 대규모 투자를 할 수 있다면 개인적인 성공이라고도 할 수 있었다.

하벡은 당시 독일 언론과 인터뷰에서 "태양광 분야에서 우리의 중국 시장 의존도는 90% 이상, 거의 100%에 가깝다. 우리는 수소와 풍력에너지 장비 생산에서도 뒤처질 위험에 처해 있다"며 "이런 일은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 이유로 두 가지를 들었다. 첫째, 유럽은 국제 경쟁에서 산업적 강점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두 번째가 안보 정책 측면에서 더 나은 위기 대응 능력의 기초를 다지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 같은 독일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노스볼트는 막대한 손실과 구조자금 확보 실패로 노스볼트는 구조조정을 위해 지난 11월 22일 미국에 파산보호 신청을 했다. 유럽의 전기차 배터리 자율화라는 꿈이 산산조각이 난 것이다.

 

이는 또한 하이데 노스볼트 공장 설립을 위해 이미 약 6억 유로의 자금을 제공한 독일 정부에게도 재앙이 됐다. 자금 할당을 담당했던 은행은 지원금에 대한 독일 주정부에 상환을 요청하고 있다. 독일은 연방 정부와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정부가 각 절반씩을 지불하게 된다.

 

노스볼트의 실패는 잘못된 관리, 과도한 지출, 열악한 안전 표준 및 중국 기계에 대한 과도한 의존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결국 유럽의 희망이었던 배터리 회사 자체가 공급망 구성에서 중국에 대한 의존을 낮추지 못했던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