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띵하오야!’
중국 상하이에 한국인 관광객들이 몰려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중국이 한국인 무비자를 시행하면서 중국내 한국인 관광객수가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한국 각지의 물가가 오르면서 한국 현지 여행보다 이국적 풍취를 즐길 수 있는 상하이를 찾는 한국 여행객들이 크게 늘고 있다는 게 여행업계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아쉬운 것은 게엄사태로 인해 한국을 찾은 중국을 비롯한 해외 여행객들의 수는 크게 줄었다는 점이다.
해외 장애인 여행을 전문으로 하는 김모(가명^50)씨는 “한국에서 총을 든 군인들의 모습이 유튜브를 통해 해외로 전해진 이래 한국 여행을 계획했다고 포기하는 이들이 많다”면서 “지금은 아예 관심을 보이는 이들조차 없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하지만 정작 상하이는 넘쳐나는 한국 관광객들로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는 것이다.
펑파이 등 중국 매체 보도에 따르면, 중국이 한국 등 일부 국가를 대상으로 무비자 정책을 시범 시행함에 따라 한국에서는 "금요일 퇴근 후 중국에서 주말 보내기"라는 새로운 트렌드가 형성되었다고 전해졌다.
보도에 따르면, 현재 상하이는 "한국 관광객으로 가득 찼다"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거리 곳곳에서 한국 관광객의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고 한다.
이 소식은 데이터에서도 확인된다. 여러 여행 플랫폼의 통계에 따르면, 중국이 한국에 대해 일방적 무비자 정책을 시행한 이후, 한국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중국 도시로는 상하이, 칭다오, 베이징 등이 순위를 차지했으며, 상하이에 입국한 한국 관광객의 예약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180% 이상 증가했고, 전월 대비로도 40% 이상 증가했다.
한국 관광객이 상하이에서 풍경을 감상하는 동시에, 그들 자신이 일종의 "풍경"이 되고 있다. 중국의 네티즌들은 그들의 여정을 관찰하며, 그들이 방문한 관광지, 먹은 음식, 중국 시민들과의 교류 방식, 그리고 그들이 소셜 미디어에 남긴 여행기를 주제로 활발히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이는 사실 개방의 본질을 잘 보여준다. 어떤 형태의 개방도 결국은 양방향이다. 관광객은 풍경을 감상하고, 현지인들은 관광객을 관찰한다. 이 과정에서 사람들은 마음속에 세계적 관점을 형성하고, 국제적인 맥락 속에서 새로운 이해를 얻게 된다. 거리에서 호기심을 가진 외국 관광객을 보며,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사람들은 스스로를 더욱 확신하는 기회를 얻는다.
특히 이번 흐름에서 언론은 의도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여유로운" 특징을 부각했다. 예를 들어, 많은 한국 관광객이 "금요일 퇴근 후 주말을 보내러" 중국에 오거나, 소셜 미디어에 올라온 여행 노트를 따라 일정을 즐긴다.
이는 현대 세계의 한 가지 진실을 보여준다. 현대 기술의 발전으로 지구는 이론적으로 "작아졌다." 전통적으로 멀게 느껴지던 거리가 오늘날에는 눈앞의 거리처럼 가까워졌다. 이에 정책적인 편의만 더해진다면,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쉽게 자유롭게 서로를 방문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자, 글로벌화된 시대에서의 생활 방식이 된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현재 한국은 일정 범위 내에서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정책을 시범 시행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더욱 편리해질 민간 교류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단지 한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무비자 정책 확대와 입국 절차 간소화의 추진으로 "China Travel"은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현재 중국은 프랑스, 독일 등 38개국에 대해 일방적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거나 시행할 예정이다.
또 정국 당국은 경유 무비자 정책도 전면적으로 완화되고 있다. 외국인의 경유 무비자 체류 시간을 기존의 72시간 및 144시간에서 240시간(10일)로 연장하고, 21개의 새로운 경유 입출국 항구를 추가했으며, 허베이, 푸젠, 산시 등 3개 성의 체류 활동 지역을 성 전체로 확대했다.
중국 민항국의 발표에 따르면, 올해 12월 15일까지 국제선 여객 운송량은 6,000만 명을 초과하며, 전년 동기 대비 130% 이상 증가해 2019년 동기 대비 약 88% 수준을 회복했다. 여행 플랫폼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까지 중국 입국 관광 성장률은 2023년 대비 1배 이상 증가했으며, 54개 무비자국의 입국 관광 성장률은 전체 평균을 상회하며 2023년 대비 189%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