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도시활력지수 1위는? ... 우한 청두와 상하이가 각각 2, 3위 차지

중국은 도시들의 국가다. 국가 경제 부흥을 도시를 중심으로 진행해 도시들이 주변 경제력을 이끌어가는 형식으로 발전해왔다.

중국 도시들은 현재 농촌 인구들의 유입이 이어지면서 꾸준한 발전 추세를 이루고 있다.

반면 농촌은 노동집약적 농업에서, 기술 농업, 과학 농업으로 새로운 부를 형성하려 시동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도시들의 이 같은 발전이 시민들의 생활 환경 개선으로 이어지도록 힘쓰고 있다. 과거 단순히 생활의 편리가 도시 시민들의 욕구였다면, 오늘날 도시들은 한 공간에서 시골과 도시의 바쁜 일상 업무는 물론 자연의 포근함까지 전하는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소위 신 도시활력이 중국 도시들이 추구하는 발전 모형이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허페이(合肥), 구이양(貴陽), 정저우(鄭州)의 영구 인구는 모두 18만 명 이상 증가해 중국 41개 주요 도시 중 상위 3위에 속하며, 중국 북동부 주요 도시의 인구 비율은 2020년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 성장을 기록할 전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41개 도시 중 항저우를 제외한 영주권자와 외국인 비즈니스 인구에 대한 매력이 강한 6개 도시는 우한, 청두, 정저우, 창사, 허페이 등 모두 새로운 1선 도시다.

이러한 도시화의 흐름을 반영하여 지난 30일 중국계획 싱크탱크는 ‘중국 도시 번영 활력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2024년 종합 도시 활력 기준 상위 10개 도시는 모두 우한, 청두, 상하이, 베이징, 충칭, 항저우, 쑤저우, 정저우, 창사, 허페이 등 메가시티다. 지난 2022년과 비교하면 2023년 41개 도시의 기본 활력은 대체로 증가했다.

도시의 기본 활력은 도시의 영구 인구 증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규모 측면에서 메가 시티는 여전히 가장 중요한 인구 유치 수준이며, 국내 메가 시티의 인구 비율은 전년 대비 0.08 % 포인트 증가했으며 메가 시티가 그 뒤를 이었다.

 

도시 활력 순위 Top10 도시들이다.

 

1위 우한

2위 청두

3위 상하이

4위 베이징

5위 충칭

6위 항저우

7위 쑤저우

8위 정저우

9위 창사

10위 허페이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