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기쁨이나 분노의 크기는 모두 네 욕망의 크기에 비례한다.

 

‘총애를 받는다’는 게

무엇인가?

 

신뢰, 믿음을 얻는 것이다.

 

옛날엔 군왕에게

중용되는 것이요,

 

요즘엔 민심을 얻어

득표를 하는 것이다.

 

총애의 반대가 무엇인가?

총애를 잃는 것, 욕(辱)을 보는 것이다.

 

옛날엔 삭탈관직이요,

오늘엔 낙선, 파면파직이다.

 

총애는 얻으면 기쁘고

욕을 보면

분하고 슬프다.

 

사람이라면 모두가 그렇다.

인지상정이다.

 

기쁘건 슬프건

분노가 치밀건

사실 이유는 모두 한 가지다.

 

자신(自身)의 욕망 탓이다.

 

잘 했다 평가 받고,

더 높은 직위에 올라

더 많은 권한을 갖고 싶은

그런 욕망 때문이다.

 

총애를 얻거나 욕을 먹어서 받는

기쁨, 분노의 크기는

그런 자신의 욕망의 크기에 비례하는 것이다.

 

욕망이 없다면

어찌 기쁘고

어찌 슬플까?

어찌 분노하겠는가?

 

하지만

대업(大業)은 스스로

욕망(慾望)을 버리고

자신(自身)을 희생해

모든 걸 쏟아야

이루는 법이다.

 

그런 이가

어찌 총애를 얻었다고 기뻐만 하며

어찌 총애를 잃었다고 분노만 하랴.

 

그저

묵묵히 자신의 길을 갈 뿐이다.

그런 이가

나랏일을 해야만 하고,

그런 이에게

나랏일을 맡길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노자는

“故贵以身为天下,若可寄天下;爱以身为天下,若可托天下”

(고귀이신위천하, 즉가기어천하, 애이신위천하, 내가이탁어천하)

 

“천하를 제 몸처럼

아끼고 사랑한다면

천하를 도모할 수 있다.”

라고 한 것이다.

 

 


사회

더보기
대규모 헬스장 부실 경영 막는 유일한 방법은? 중 상하이 사전 건전성 단속이 최고
대형 헬스장의 돌연한 폐업은 소비자들에게는 엄청난 피해다. 피해자도 다수여서 지역 사회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친다. 중국의 헬스장은 한국보다 규모가 더 큰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런데 중국 소비자들의 소득은 아직 한국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자연히 한국보다 그 피해가 클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런 중국에서 상하이 시가 묘책을 내놓고 1년간 운용 성과를 올려 주목된다. 1년 전, <상하이시 체육 발전 조례>(이하 <조례>)가 공식 시행됐다. 그 중 여러 조항은 헬스업계가 어떻게 올바르게 선불 소비 영업 활동을 진행해야 하는지를 규정하고 있었다. 이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업 부서 외의 산업 주관 부서가 법규에서 선불 소비 영업 활동에 대한 감독 방안을 제시한 사례였다. 1년이 지난 후, 헬스업계의 선불 소비에 대한 감독 세칙이 발표되었으며, 이는 상하이 헬스업계의 선불 소비 금액과 사용 가능한 서비스 기한 및 횟수를 명확히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스포츠 산업의 선불 자금 ‘삼한’ 기준을 설정한 사례였다. 1월 13일, 상하이시 체육국은 여러 부서와 공동으로 <상하이시 체육 헬스업계 선불 소비 영업 활동 감독 실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