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분석: 상]2025년 중국식 '인류 운명공동체'는 성공할 수 있는가? .... 2025년 중국 연구소를 설립

1. 2025년 중국식 ‘인류 운명공동체’는 성공할 수 있을까?

 

“인류의 미래를 공유하는 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공산당 총서기가 제시한 독창적인 주요 아이디어입니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지난 2일 베이징에서 열린 ‘인류의 미래를 공유하는 공동체를 위한 연구센터’(Research Center for a Community with a Shared Future for Humanity)’ 개소식에 참석해 한 말이다.

 

 

중국이 시진핑 주석의 ‘인류공동체’ 사상 전파에 적극 나서겠다는 신호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의도가 과연 성공할지는 여전히 많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의문이다.

문제는 중국의 사회주의 독재 시스템 탓이다. 사회주의 독재 시스템으로 글로벌 사회에서 경제적 성공을 이룬 나라는 중국이 유일하다. 중국식 ‘인류공동체’를 추구하는 것은 결국 중국식 사회주의 공동체를 받아들인다는 의미일 수 있다는 점에 많은 나라들의 동참에 장애가 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일부 분석가들은 중국이 ‘신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을 전파하려 한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국제 질서를 대체하기 위해 세계 영역에서 패권을 놓고 경쟁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의심의 눈초리를 던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왕이(王毅) 부장이 제막식에서 "인류의 미래를 공유하는 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이 시진핑 외교 사상의 핵심 개념"이라며 "이는 '어떤 세계를 건설할 것인가, 어떻게 이 세계를 건설할 것인가'에 대한 중국의 답"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수십 개의 국가와 지역이 중국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미래를 공유하는 공동체를 건설하고 있다”며 “관련 내용은 유엔 총회 결의안과 다자간 문서에 여러 차례 기록됐다”고 밝혔다.

 

중국이 각국을 주도해서 ‘인류 공동체’ 건설에 대한 중국의 의도를 보여주고 있다. 많은 이들이 꺼리는 면도 적지 않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보여주는 대목이다.

개소식에서 왕이 부장은 이어 “중국은 현재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서 미국과 국제무대에서 미국과 발언권을 놓고 경쟁을 하고 있다”며 “인류의 미래를 공유하는 이른바 공동체라는 중국식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중화권 매체들은 이른바 '중국모델'은 일당독재, 즉 이른바 집단주의 또는 국가체제, 권위주의 통치라며 이에 ‘중국 모델’을 국제사회가 받아들이기 꺼리도록 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중화권 매체들은 아세안 국가를 예로 들고 있다. 베트남의 경우만 봐도 중국과 ‘인류공동체’에 관련 활동을 같이 하면서도 개념을 달리하고 있다. 중국은 베트남에 "미래를 공유하는 중국-베트남 공동체"를 공동으로 건설할 것을 제안하지만 베트남의 표현은 "베트남-중국 미래 공유 공동체"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