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식 '인류 운명 공동체' 과연 괴물일까? 인류 미래를 위한 중국식 답안일까? AI제작 이미지](http://www.kochina21.com/data/photos/20250105/art_17380357650638_eea797.png)
2. 2025년 중국식 ‘인류공동체’는 성공할 것인가.
현재 중국식 ‘인류공동체’ 문안을 그대로 받아들인 나라는 중국의 경제 원조를 받는 라오스와 캄보디아가 아시아에서 유일하다. 이들 국가만이 중국과 관련 문서를 체결했다.
2025년 새해를 열며 중국이 외교 최우선 과제로 삼는 ‘인류공동체’ 확산은 결론부터 말하면 시작과 함께 실패의 먹구름 갇힌 상황이다. 중화권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은 무엇보다 아세안, 브릭스 (BRICS) 정상 회담, 일대일로 (Belt and Road) 정상 회담에서 이 개념을 퍼뜨리려 노력했지만 사실 실패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2025년 중국은 다양한 경제 협력을 진행하며 ‘중국식 인류공동체’ 건설의 파트너를 찾고 있다. 그 것은 중국이 추구하는 미국식 공급망 재편에 대한 대응이며, 중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세력 구축의 노력이다.
물론 중국식 ‘인류공동체’ 개념이 문구로만 볼 때 나쁘기만 한 것도 아니다. 걸림돌은 바로 중국 자신이다. 중국의 사회주의 독재 시스템이 문제인 것이다.
정치에서 독재가 일반적인 아시아나 남미 국가들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중국식 인류공동체’ 개념을 미국, 유럽 및 서방 국가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는 상황이다.
중화권 매체들은 “중국이 세계 발전의 길을 보여줄 것이라고 중국 스스로 말하고 있지만, 이를 믿는 국가는 없다”고 평가했다.
물론 중국도 이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렇다고 중국식 사회주의 독재 시스템을 접을 수는 없다. ‘인류공동체’에 대한 개념, 즉 포장을 바꾸는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뉴욕의 해외 정치 저널 베이징의 봄 명예 편집장 후핑(胡平)은 “중국공산당이 이제 '전 세계 프롤레타리아트가 단결한다', '전 인류가 공산주의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와 같은 전통적인 구호를 반복하는 것을 멈추고 '모든 국가와의 평화와 우정'이라는 공허한 말로 돌아섰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구호와 실체는 다르다. 중국식 ‘인류공동체’에 대해서 많은 나라들이 인식하는 것은 실체가 없다는 것이다. 유일한 실체는 ‘중국식 사회주의 독재시스템’이라는 것이다.
또 역사적인 ‘중화사상’이다. 중화사상은 중국이 세상의 중심이라는 봉건주의식 사고 체계다. 중국의 전통적인 세계관은 한때 스스로를 문명의 중심으로, 나머지 세계를 야만적인 땅으로 여겼다.
이 사상은 청말 리훙장이 '3000년 동안 볼 수 없었던 대변화'를 제안하고 나서야 비로소 중국인들 사이에서 깨지고 있다.
현대 중국 관련 학자들은 중국 공산당이 '패권'을 '왕도'로 대체하는 국제 개념을 시도하고 있다고 본다. 시 주석을 핵심으로 하는 중국 공산당 세력은 중국 전통의 맹자식의 ‘하늘 아래 한 가족과 인간 국가 공동체’를 주창하고, 중국과 서구 '제국주의' 및 자본주의의 차이를 강조하고 있다고 본다. 중국식 ‘인류공동체’의 개념도 이 같은 사고의 전개 속에 나왔다는 게 중국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 전문가들은 "중국 당국이 시진핑을 '위대한 지도자'로 묘사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동양사상에서 위대한 지도자는 사회의 보편적 제도적 패러다임을 설계하는 자다. 공자의 표현대로라면 ‘500년에 한 번 나와 500년간의 사회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인물이다.
중국 전통 사상이 추구하는 완벽한 사회가 바로 ‘대동’사회다. 위대한 인물의 통치 아래 만 백성이 행복한 사회다.
중국의 ‘시진핑 외교사상연구센터’는 이 같은 동양의 전통적 사상을 오늘날 중국식 ‘인류공동체’라는 개념으로 발전시켜 내고 있는 것이다.
시진핑 경제사상연구센터와 시진핑 문화사상연구센터 등이 ‘인류공동체’ 사상 탄생의 주역들이다.
중국 전문가들은 중국식 시진핑 개인숭배를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려는 것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무엇보다 전문가들은 그동안 시진핑 사상을 연구하는 여러 연구센터를 설립한 것은 모두 시진핑의 개인숭배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이번 ‘인류공동체’ 연구소 설립은 개인숭배 사상의 세계 확산을 목표로 하는 것이라 분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