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우리는 나와 너의 합이다. 나 없이 우리 없고, 너 없이 우리 없다.

세상에 어느 생물이 혼자 살 수 있더냐?

 

 

햇볕없이 수분 없이 

피는 꽃이 있더냐?

 

어느 식물이

양분 없이 자라며

어느 동물이 

먹지 않고 살던가?

 

세상에 홀로 사는 생물은 없다.

먹이가 있어야 살고,

내가 먹이가 돼야 또 다른 생물을 살린다.

 

그게 자연이요,

그게 '우리'다. 

 

'우리'는 무엇인가? 

'나와 너'

우리 속 나는 언제나 하나지만,

우리 속 너는 둘도 셋도

백도 천도 만도 된다.

 

우리는 항상 홀로인 나와

복수인 너로

구성되는 것이다. 

 

'나 + 너 + 너 + 너 …'

바로 우리의 산식이다.

 

약식으로 표현하면 

우리는 

'나 + 너희들'이다.

 

여기서 나를 빼면

'너희들'만 남는다.

 

너희는 우리의 상대어다. 

 

우리가 너희가 되는 것은 

우리에서 '나'를 뺐을 때다. 

우리에서 '너희'를 뺀 것이 아니라,

우리에서 '나'를 뺄 때 

나는 너희와 다른 '내'가 되는 것이다.

 

세상에 '나 홀로' 사는 게 있더냐?

 

내가 있어 너가 살고,

너가 있어 내가 사는 게 

바로 우리다.

 

'나 홀로'가 아니라 

우리만이 

생명을 유지하는 '합'이요, 자연인 것이다. 

 

우리 속 

내가 너를 위해 살고,

우리 속 

네가 나를 위해 살 때

우리는 

생명을 잇는다.

 

서로가

변(變)을 초래하고

화(化)를 일궈간다.

 

바로 

'만물병작'(萬物竝作: 만물이 함께 작용한다)의 도리다.

 

우리 속의

내가 너의 뿌리요

우리 속의 

너가 나의 뿌리인 것이다.

 

우리 속 너와 내가 

서로에게 양분이 될 때

우리는 번성하고

우리는 이어지며 되풀이 된다.

 

이 윤회는  

우리가 존재하는 한

항상

그렇게 이어진다. 

이 반복을 상(常)이라 하는 이유다.

 

내가 나를 버려

'너'를 위해 

양분이 될 때

또 너가 너를 버려 

나를 위한 

양분이 될 때

 

우리는 더욱 번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 도리를 알면 

내가 '나'에 집착하지 않으며

 

나에 칩착하지 않을 때

우리는 더욱 견고해지며,

 

우리 속 너는 물론이요

우리 속 '나'도 더욱 강인해진다.

바로 

'몰신불태'(沒身不殆; 몸이 없어도 위태롭지 않다)의 경지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