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상이 정의롭다 누가 그랬나, 힘없으면 피곤한 게 인생인데

 

“세상이 정의롭다 누가 그랬나,

힘없으면 피곤한 게 인생인데”

 

“孰云网恢恢,将老身反累。”(수운망회회, 장로신반루)

 

세상사 참 묘하다.

모두가 ‘사필귀정’이라는 데, 정작 누구도 그 결과를 본 이는 없다.

오히려

반대다 살아서

항상

못된 놈들이 이기는 것만 본다.

 

그런데

참 묘한 게

지나고 나면 ‘맞다’ 싶은 것도 사필귀정이다.

 

“세상은 바르다.”

맞는 듯 틀리고

틀리는 듯 맞다.

 

2000년 두보의 한탄이다. 싯구는 두보의 ‘이백을 꿈꾸며’ 2수 중 두 번째 시다. 같이 시로써 세상을 노래하던 지기 이백이 꿈에 자주 보인다는 게 집필 동기다. 저 멀리 귀향살이를 간 이가 꿈에 보이는 데 창백한 얼굴에 낭패한 기색이 역력하다.

놀라 깨어나 보니 가슴이 먹먹하다. 아련히 떠오르는 친구의 얼굴, 가슴 저편에 아련한 아픔이 퍼진다.

 

‘망회회’는 하늘의 도다. 노자의 말이다.

하늘의 그물은 성글지만, 그 그물을 벗어나는 존재란 없다는 뜻이다. 도는 천지창조의 원리다. 만물을 지배하는 도리다.

 

‘망회회’는 하늘의 도가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는 의미다.

 

그런데 2000년 전 두보가 한탄했고,

오늘날 필자도 한탄을 한다.

‘누가 하늘의 도가 살아 있다 했는가?’, ‘세상에 언제 도가 성하긴 했었나?’

 

시는 이런 한탄에서 씨앗을 잉태한다.

 

나의 체념 끝에

너의 낙담 끝에 남는 것이다.

그 것은

오직 나만은

오직 너만은

그래도

풍진 세상에 남아

살아 있는 도(道)를 보길

기원하는 마음이다.

 

말 그대로

“但愿人长久”(단원인창구: 오직 그대여 영원하길!)

의 마음이다.

 

그 시작은 안타까움이다.

 

“저 하늘 구름

오늘도 종일

흘러가는 데

구름 따라 간

그 나그네는

소식도 없네.”

 

“浮云终日行,游子久不至。”(부운종일행, 유자구부지)

 

그런데 그 소식 없던 나그네가

꿈에 나타난다.

하루 꿈도 아니고 며칠 꿈에 나그네 얼굴이 보인다.

 

“쫓기듯 떠난 그대

어찌 쉽게 오려만”

“告归常局促,苦道来不易。”(고귀상국촉, 고도래불이)

 

꿈에 이리 자주 보이는 건,

혹 그대

일이라도 생긴 건 아닌지.

 

꿈속의 그대는

여전히 멋지기는 하지만

얼굴은 초췌하기만 하네

 

그리고 놀라 깬 두보의 입에서

절로 나오는 게

저 한탄의 구절이다.

“아 누가 하늘의 도가 있다 했나?”

다시 한탄이 이어진다.

 

“역사에 이름을 남긴들 뭘 하나,

남는 건 외롭고 병든 몸뿐인데.”

 

“千秋万岁名,寂寞身后事。”(천추만세명, 적막신후사)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