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내수 진작에 힘쓰면서 지난 춘제 기간 중국 전역의 소매 및 요식 기업 판매액이 전년동기 대비 4% 이상 늘었다.
중국 당국은 연초 ‘내수 중심 성장’을 2025년 올 한 해 경제 지표로 내세운 바 있다.
난팡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최근 정례 기자회견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의 춘제 기간 소비 현황 자료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상무부의 상업 빅데이터 모니터링에 따르면, 연휴 기간 동안 전국 주요 소매 및 외식 기업의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했다.
주요 소매업체의 가전 및 통신 기기 매출액이 전년 대비 10% 이상 증가했다. 또 주요 외식업체의 매출액이 전년 대비 6.2% 늘었다. 겨울 스포츠 관광과 문화 박물관 여행도 지속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춘제 연휴 기간 동안 국내 관광 총지출은 6,770억 위안(약 134조 4,454억 원)으로 전년 대비 7.0% 증가했다.
중국 여행객 수는 5억 명으로 5.9% 증가했다.
허융첸 상무부 대변인은 “올해 춘제 연휴 동안 전국 소비 시장은 명절 분위기가 짙고, 방문객이 많으며, 판매가 활발했다”고 분석했다.
중국 매체들은 각 지방정부의 소비 촉진 행사가 한 몫을 했다고 분석했다. 각 지역 상무부서는 지역 특색을 살려 신춘 장터, 온라인 명절 특산물 축제, 전통 브랜드 카니발 등 다채로운 소비 촉진 행사를 개최하여 짙은 명절 분위기를 조성하고 소비 활성화를 이끌었다.
예컨대 헤이룽장성은 아시안 동계경기대회 개최를 기회로 삼아 ‘환희의 아시안 동계대회, 흥겨운 헤이룽장 쇼핑’ 시리즈 행사를 추진했다. 쓰촨성은 ‘천부의 명절 분위기, 다채로운 기상’이라는 주제로 100개 상권이 연계된 신춘 소비의 달 행사를 열었다.
중국 당국은 올 한 해 내수 시장을 최대한 확대해 미국의 관세 전쟁 등 외부 불확실성에 대비한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중국은 다양한 사회 인프라 개선 작업과 재정정책을 통해 시중 자금공급을 대거 늘릴 계획이다.
한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의 대중 추가관세를 부과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발 보호무역주의 확산은 중국은 물론, 수출 위주의 경제 성장구조를 가진 한국에게는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