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난해 규모 이상 전자 통신 제조업 영업이익 동기 대비 7.3% 증가

 

지난 2024년 한해 중국의 규모 이상 전자통신 제조업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7% 이상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의 강력한 제재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IT굴기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최근 웹사이트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의 업계 현황 자료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규모 이상 전자정보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11.8% 증가했으며,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산업 및 첨단기술 제조업 증가율보다 각각 6.0%p, 2.9%p높은 수준이다. 12월 한 달 동안 규모 이상 전자정보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했다.

2024년 주요 제품 생산량을 살펴보면, 휴대전화 생산량은 167억 대로 전년 대비 7.8% 증가했고, 이 중 스마트폰 생산량은 125억 대로 8.2% 증가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 장비 생산량은 3억 4천만 대로 2.7% 증가했으며, 집적회로 생산량은 4,514억 개로 22.2% 증가했다.

2024년 규모 이상 전자정보 제조업의 수출 인도 금액은 전년 대비 2.2% 증가하며, 1~11월 대비 0.9%p상승했다.해관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노트북 컴퓨터 수출량은 1억 4,300만 대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으며, 휴대전화 수출량은 8억 1,400만 대로 1.5% 증가했다. 집적회로 수출량은 2,981억 개로 11.6% 증가했다.

2024년 규모 이상 전자정보 제조업의 영업수익은 161조 위안(약 3경 1,972조  원)으로 전년 대비 7.3% 증가했고, 영업비용은 141조 위안(약 2경 8,001조 원)으로 7.5% 증가했다. 총이익은 6,408억 위안(약 127조 2,564억 원)으로 3.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률은 4.0%로 1~11월 대비 0.04%p상승했다. 12월 한 달 동안 영업수익은 1조 7,400억 위안(약 345조 5,466억 원)으로 8.4% 증가했다.

2024년 전자정보 제조업의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대비 12% 증가했으며, 1~11월 대비 0.6%p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체 산업 투자 증가율보다 0.1%p낮지만, 첨단기술 제조업 투자 증가율보다는 5%p높은 수준이다.

중국 매체들은 “전자정보 제조업의 생산이 빠르게 증가했고, 수출이 지속적으로 회복되었으며, 수익성이 안정적으로 개선되었고, 투자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며 업계 전반이 양호한 발전 흐름을 유지했다”고 평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