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전국 휴대폰 등 디지털 상품 구매 보조금 신청자 2,000만명 돌파

 

최근 40일 간 중국에서 총 2,009만 명 이상이 정부 보조금을 받아 휴대전화 등 IT기기를 개비한 것으로 집계됐다.

새로 팔린 휴대전화 댓수만 2,541만 대를 훌쩍 넘었다. 연초부터 중국 당국이 강력한 재정 드라이브를 걸어 소비진작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미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후 글로벌 관세전, 보호무역 장벽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중국은 내수 시장 진작을 타개책을 내걸고 있다.

연초 조금씩 성과가 나오고 있어, 올 한 해 글로벌 경제 시장 주도권을 놓고 다툼을 벌이는 미국과 중국 가운데 누가 승기를 잡을지 벌써부터 주목되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최근 “당 중앙과 국무원의 결정 사항을 철저히 이행하고 있다”며 이 같은 내용의 신년 ‘이구환신’(옛 것을 새 것으로 교환하도록 지원하는 정책) 이행 결과를 공개했다.

상무부 산하 전국 가전제품 ‘구제품 교체 신규 구매’ 및 디지털 제품 구매 데이터 플랫폼에 따르면, 지난 1월 20일 0시부터 2월 8일 24시까지 총 2,009.2만 명의 소비자가 2,541.4만 대의 휴대전화 등 디지털 제품 구매 보조금을 신청했다.

1월 15일, 상무부는 관련 부처와 함께 《휴대전화·태블릿·스마트워치(스마트밴드) 신규 구매 보조금 시행 방안》을 발표하고, 각 지역이 보조금 절차를 최적화하여 소비자의 편의를 높이고, 다양한 주체가 보조금 정책에 평등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원활한 보조금 지급 환경을 조성하도록 배치했다.

춘제 소비 성수기를 놓치지 않고 명절 소비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상무부는 ‘가능하면 최대한 조기 시행’ 원칙을 견지하며, 업무 조율과 운영 지도를 강화하고, 각 지역이 신속히 정책을 시행하도록 독려했다. 이에 따라 1월 20일, 전국 28개 성(省)이 즉시 보조금 정책을 시행했으며, 기타 지역도 차례로 도입했다.

중국 은련(银联)의 모니터링 데이터에 따르면, 전국 6,000여 개의 가맹점이 은련을 통해 휴대전화 등 디지털 제품 신규 구매 보조금 행사에 참여했다. 총 626.84만 건의 보조금 거래가 발생해 판매액이 약 2,058억 위안(약 41조 550억 원)에 달했다.

또한, 제삼자 시장조사 기관의 데이터에 따르면, 신규 구매 보조금 정책이 휴대전화 시장의 판매량과 매출 증가를 견인했으며, 춘제 연휴 전 일주일 동안 휴대전화 판매량과 매출이 전주 대비 각각 74%와 65% 증가했고,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0%와 34% 상승했다.

상무부는 보조금 정책 시행에 따른 리스크 방지에도 높은 중요성을 부여하며, 중앙과 지방이 긴밀히 협력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위험 관리 체계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또 리스크 예방을 정책 설계와 동시에 연구·기획·배치하고, 전국 상무 시스템을 통해 다차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구매자의 신원 정보 및 보조금 거래의 진위를 실시간으로 검증했다고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