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춘절 연휴 기간 전력 사용량 동기 대비 14.3% 증가

 

중국 당국의 내수 시장 진작 정책에 힘입어 중국의 도소매 산업 소비 전력과 관광, 외식 산업 소비 전력이 두 자릿수로 크게 늘었다.

전력은 모든 산업의 에너지, 동력이다. 전류가 흐른다는 것은 그 산업이 가동되고 있다는 의미이며, 유량이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산업활동이 활발했다는 의미다.

중국은 내수 소비 진작을 위해 다양한 재정정책을 지방정부와 함께 펼치고 있다. 산업군 가운데에서도 소비와 직접 연관되는 도소매산업과 관광, 외식산업의 전력 소비가 늘었다는 점은 고무적인 사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가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2025년 설 연휴 기간 산둥 전력망의 총 전력 소비량은 119.33억kWh로, 2024년 설 연휴 대비 14.3% 증가했다.

특히 이중 소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산둥 내 산업별 전력 사용량을 살펴보면, 도·소매업의 전력 소비량은 4.5억kWh로 전년 대비 27.91% 증가했고, 외식업 및 숙박업의 전력 소비량은 1.38억kWh로 18.79% 늘었다.

중국 매체들은 “형화를 한 편 보고, 화등을 감상하고, 자동차 여행을 떠나고…… 막 지난 설 연휴 동안 인기 상권부터 골목길까지, 치루 대지는 사람들의 활기로 가득했다. 관광·외식업부터 도·소매업까지 소비 시장은 활황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중국 소비 진작은 각 지방 정부의 적극적인 소비 행사 진행도 한 몫을 했다. 산둥성은 1월 18일부터 ‘2025 산둥 설맞이 소비 시즌’을 시작했고, 각 지역에서도 다양한 행사들을 선보였다. 여기에 ‘구형 제품 반납 후 신제품 구매 보조금’ 정책이 더해지면서 전기차, 가전제품, 3C 디지털 제품 등의 판매가 촉진되었으며, 이로 인해 관련 업종의 전력 사용량도 빠르게 증가했다.

산둥성의 도청 소재지인 지난시는 전력 소비 증가가 두드러졌다. 도·소매업의 전력 소비량이 4569.74만kWh에 달하며, 증가율이 34.95%에 이르렀다. 연휴 기간 기자가 지난의 여러 대형 마트를 방문했을 때,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는 장면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지난 천성로에 위치한 쑤닝이거우 슈퍼 플래그십 스토어에서는 ‘구형 제품 반납 후 신제품 구매’ 정책의 영향으로 각종 가전 및 디지털 제품의 판매가 급증했다. 특히 휴대전화,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의 판매량이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문화·관광 소비는 연휴 경제 성장의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설 연휴 기간 산둥 관광지의 전력 소비량은 2083.31만kWh로 전년 대비 7.21% 증가했다. 타이산 정상에서는 수많은 관광객이 새해 해돋이를 맞이하기 위해 올랐다. 국망 타이안 송전회사 타이산 관광지 송전소 소장 리페이는 “올해 설 연휴 기간 타이산 관광지의 최대 전력 부하는 4060kW에 달해, 2024년 설 연휴 대비 23.5% 증가했다”고 전했다.

디지털 소비, 친환경 소비, 문화 소비 등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두드러지면서 이에 따른 산업별 전력 수요도 증가했다. 연휴 기간 국망 산둥성 전력회사가 운영하는 충전·배터리 교환소의 충·배전량은 2451.9만kWh로, 전년 대비 52.25% 증가했다. 국망 산둥성 전력회사 마케팅 부서 관계자는 “전기차 보유량의 꾸준한 증가와 설 연휴 기간 도시간 이동 차량 증가가 충·배전량 증가의 주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설 연휴 동안 산둥 곳곳에서 다양한 문화 공연, 민속 전시, 스포츠 행사 등이 열려 시민들의 휴일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다. 문화 소비의 지속적인 증가로 관련 업종의 전력 사용량도 늘어났다. 데이터에 따르면, 문화·예술·스포츠·엔터테인먼트 업종의 전력 소비량은 1064.66만kWh로 전년 대비 4.85% 증가했다.

산둥사범대학 경영대학 부교수 리양은 “연초 소비 열기는 시작에 불과하며, 올해 다양한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면서 내수 확대 및 소비 진작 효과가 더욱 뚜렷해질 것”이라며 “전력 소비량 지표도 더욱 힘찬 상승 곡선을 그릴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