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지난해 1~11월간 디지털산업 매출 31조 위안 돌파

 

31조7000억 위안’

한화로 약 6,287조 6,950억 원에 달한다. 지난 2024년 1~11월간 중국 디지털 산업의 사업매출이다. 전년동기 대비 5.4%가량 는 수치다.

정보기술(IT) 서비스 매출은 전년 대비 11% 증가했다.

중국의 ‘IT굴기’가 미국의 강력한 견제 속에도 불구하고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 당국은 올해 역시 관련 산업 성장에 전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信部)는 이 같은 내용의 디지털산업 현황 자료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11월까지 디지털 산업의 사업 매출은 31.7조 위안(약 6,287조 6,950억 원)에 달해 전년 대비 5.4% 증가했으며, 총이익은 2.4조 위안(약 476조 400억 원)으로 4% 성장했다.

2024년 정보기술(IT) 서비스 매출이 전년 대비 11% 증가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과 빅데이터 서비스 매출은 9.9% 증가했다. 디지털 기술, 디지털 인프라, 데이터 자원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디지털 경제가 전 산업을 지원하는 핵심 동력이자 신질적 생산력(新质生产力) 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공업·정보화부 운영감독국 국장 타오칭(陶青)은 "디지털 산업은 실물 경제와 디지털 경제의 심층 융합을 촉진하는 핵심 기반이며, 신질적 생산력 발전의 중요한 매개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공업·정보화부는 차세대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및 정보 서비스, 신형 디스플레이, 사물인터넷 등의 분야에서 디지털 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가속화하고 있다. 현재까지 디지털 산업 분야에서 13개의 국가급 제조업 혁신센터가 설립되었으며, 기업의 혁신 역량이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

대련이공대학교 플랫폼 거버넌스 연구원 원장 수징친(苏敬勤)은 디지털 경제의 빠른 발전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차세대 정보기술의 지속적인 혁신과 5G, 데이터센터 등 정보 인프라의 안정적인 구축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스마트 공장 및 스마트 작업장과 같은 새로운 산업 모델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기업의 대규모 투자와 소비자의 수요 증가를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