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70개 주요 도시 아파트 가격 두 달째 상승세

 

지난 1월 중국의 70개 주요 도시들의 아파트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갔다. 중국 부동산 경기가 바닥을 다지고 다시 일어서는 모습이어서 주목된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 1월 기준 70개 대·중형 도시의 아파트 판매 가격 변동 상황을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1월 1선 도시의 신규 아파트 판매 가격은 전월 대비 0.1% 상승했으며, 상승 폭은 지난달보다 0.1%포인트 축소됐다. 도시별로 보면, 베이징은 0.4% 하락했고, 광저우는 보합세를 유지했으며, 상하이와 선전은 각각 0.6%, 0.2% 상승했다. 1선 도시의 중고 주택 판매 가격은 전월 대비 0.1% 상승했으며, 상승 폭은 지난달보다 0.2%포인트 축소됐다. 세부적으로는 베이징, 상하이, 선전이 각각 0.1%, 0.4%, 0.4% 상승했으며, 광저우는 0.2% 하락했다.

왕중화 국가통계국 수석 통계사는 “2025년 1월, 70개 대·중형 도시 중 1선 도시의 아파트 판매 가격은 전월 대비 계속 상승했으며, 2·3선 도시는 전반적으로 소폭 하락했다. 또한, 1·2·3선 도시 모두 전년 동월 대비 하락 폭이 지속적으로 축소되었다”라고 밝혔다.

2선 도시의 신규 아파트 판매 가격은 전월과 보합세를 보이던 지난달과 달리 0.1% 상승했으며, 이는 2023년 6월 이후 처음으로 상승세를 기록한 것이다. 반면, 중고 주택 판매 가격은 전월 대비 0.3% 하락하며 지난달과 같은 낙폭을 유지했다. 3선 도시의 신규 아파트와 중고 주택 판매 가격은 각각 0.2%, 0.4% 하락하며, 하락 폭은 지난달과 동일했다.

70개 대·중형 도시 중 신규 아파트 판매 가격이 전월 대비 상승한 도시는 24곳으로, 지난달보다 1곳 증가했다. 반면, 중고 주택 판매 가격이 전월 대비 상승한 도시는 7곳으로, 지난달보다 2곳 감소했다.

한편, 1월 1선 도시의 신규 아파트 판매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3.4% 하락했으며, 하락 폭은 지난달보다 0.4%포인트 축소됐다. 도시별로 보면, 베이징, 광저우, 선전이 각각 5.7%, 8.4%, 5.2% 하락한 반면, 상하이는 5.6% 상승했다. 1선 도시의 중고 주택 판매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5.6% 하락했으며, 하락 폭은 지난달보다 1.1%포인트 축소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이 각각 3.8%, 2.3%, 10.0%, 6.1% 하락했다.

2선 도시의 신규 아파트 판매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5.0% 하락하며, 하락 폭이 지난달보다 0.4%포인트 축소됐다. 중고 주택 판매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7.6% 하락했으며, 하락 폭이 지난달보다 0.3%포인트 축소됐다. 3선 도시의 신규 아파트와 중고 주택 판매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6.0%, 8.2% 하락했으며, 하락 폭은 지난달보다 각각 0.2%포인트 줄어들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 315, 중국 소비시장의 최소한의 질적 보장, 노인 소비자 보호 등 2대 가치 내세워 눈길
“중국의 ‘3·15 방송’을 아시나요?” 중국 소비자 목소리를 대변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한국으로 치면 과거 ‘2580’ 등과 같은 형식이다. 기업 제조 과정의 문제점을 심층 취재해 고발한다. 방송의 3·15는 3월 15일을 의미한다. 중국의 소비자 권익의 날이다. 프로그램은 이날 방송된다. 이 프로그램의 타깃이 된 기업은 사실상 경영이 끝났다고 봐야 할 정도로 중국에서는 치명적인 힘을 지니고 있다. 최근 이 방송이 중국 소비관련 두 가지 문제를 짚어 주목된다. 첫째, ‘가성비’는 소비자들의 공통된 요구다.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입점 업체 간의 치열한 경쟁, 그리고 ‘내가 가격을 낮췄다’라는 라이브 커머스의 가격 인하 경쟁이 심화되면서, 많은 상품의 가격이 점점 더 낮아지고 있다. 하지만 ‘품질’은 사정이 다르다. 가격이 지나치게 낮아지면서 기업들의 이윤이 극도로 줄어들자, 일부 업체들은 생존을 위해 품질을 희생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심지어 ‘흑백 양면 전략’을 구사하는 기업도 있다. 대기업 브랜드 제품은 정규 공장에서 생산해 기업 이미지를 구축하는 반면, 중소 유통 경로를 위한 제품은 품질을 무시한 채 생산해 폭리를 취하는 방식이다. 일부 업체들은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