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주요 도시 GDP 성장율 순위 급변...오로도스가 1위 차지

 

전국 1인당 GDP 기준 상위 10개 도시가 다시 개편되었다. 1위는 오르도스가 차지했다. 2위는 가라마이, 수도 베이징은 3위에 랭크됐다.

상하이, 선전, 쑤저우, 우시 등의 도시들은 10위에 이름을 남기는 데 그쳤다.

중국 2025년 도시들의 경제 순위에 새로운 바람이 분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방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도시별 지역총생산(GDP) 실적을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는 지난 2023년 각 성의 상주 인구수를 기초로 했다.

발표에 따르면 1인당 GDP 상위 10개 도시는 오르도스, 가라마이, 베이징, 우시, 상하이, 위린, 선전, 쑤저우, 창저우, 난징이다.

국내에 광산이 있는 오르도스(Ordos)는 1인당 GDP가 286,500위안으로 전국 평균의 거의 3배에 달할 정도로 여전히 압도적인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에너지 기반 도시이며, 1인당 GDP가 271,300위안인 카라마이가 그 뒤를 이어 전국 2위를 차지했습니다.

또한 1인당 GDP가 200,000위안 이상인 도시는 베이징, 우시, 상하이, 위린, 선전, 쑤저우, 창저우 등 7개 도시입니다. 그 중 동부 해안 지역에 위치한 선전(Shenzhen), 쑤저우(蘇州), 창저우(Changzhou)는 2024년 한 번에 20만 위안을 돌파하는 등 눈길을 끄는 성과를 거뒀다.

지역별로 보면 1인당 GDP가 상위 10위인 도시 중 양쯔강 삼각주 지역은 우시(Wuxi), 상하이(Shanghai), 쑤저우(Suzhou), 창저우(Changzhou), 난징(Nanjing)으로 국토의 절반을 차지합니다.

그 중 우시의 1인당 GDP는 양쯔강 삼각주 지역에서 약 216,900위안으로 1위, 상하이가 약 216,700위안으로 2위, 쑤저우, 창저우, 난징이 각각 206,200위안, 201,100위안, 193,700위안입니다.

양쯔강 삼각주 지역의 "금 함량"이 왜 그렇게 높습니까? 상하이 도시개발협력혁신센터 부소장 겸 화동사범대학교 도시개발연구소 교수 차오 셴중(Cao Xianzhong)은 타임타임지와의 인터뷰에서 이는 양쯔강 삼각주 지역의 지역 협력 개발과 불가분의 관계라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양쯔강 삼각주 지역의 GDP는 국토의 1/4을 차지하며, 상하이, 쑤저우, 항저우, 난징 및 기타 수조 달러 규모의 거대 도시와 일부 저개발 지역과 함께 양쯔강 삼각주 지역 전체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피라미드" 도시 시스템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도시체제는 도시와 산업의 분업에 유리하고, 비교적 긴밀한 도시네트워크 체계를 형성하며, 도시개발을 촉진한다. 신에너지 자동차 제조를 예로 들면, 상하이는 칩 및 소프트웨어와 같은 핵심 부품을 제공할 수 있고, 장쑤성은 자동차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배터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저장성은 통합 다이캐스팅 기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안후이는 차량을 조립할 수 있습니다. Cao Xianzhong이 말했다.

동시에 양쯔강 삼각주 지역은 혁신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고급 대학, 과학 연구 기관 및 국가 핵심 실험실과 같은 풍부한 혁신 자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중국 1인당 GDP 순위 10위 도시 순위다.

 

1위 오르도스

2위 커라마이

3위 베이징

4위 우시

5위 상하이

6위 위린

7위 선전

8위 쑤저우

9위 창저우

10위 난징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