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에서 거주 적합도 1위 도시는 어디? ....1위 상하이

중국에서 최고의 도시는 어느 곳일까?

 

우선 최고의 도시에 대한 개념부터 명확해야 할 것이다. 대표적인 개념이 도시 거주 적합성 평가다. 도시의 종합적인 역량과 발전 수준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거주 적합성이다.

단순히 경제 뿐 아니라, 주민들이 자부심을 가지고 스스로의 생활을 가꿔갈 수 있는 곳은 어딘가를 살펴보자는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중국에서 ‘2024 중국 도시 거주 적합성 지수 분석 보고서’가 발표됐다.

결과는 상하이가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항저우였고, 베이징은 3위에 머물렀다.

하얼빈, 양저우가 각각 4, 5위를 기록했다. 하이커우, 광저우, 쯔보, 난징, 선전이 상위 10위권에 포함됐다.

 

이번 보고서는 도시건설 잡지사 산하 중국 거주 적합 도시 연구센터에서 발표했다. 중국 도시 거주 적합성 지수는 경제 활력과 경쟁력, 환경 지속 가능성, 도시 관리 및 안정성, 사회·문화 및 교육 등 네 가지 주요 분야의 90개 데이터를 바탕으로 중국 내 100개 도시를 분석한 것이다.

중국 거주 적합 도시 연구센터의 허쥔이(贺俊艺)는 이번 보고서가 기존의 ‘미관 중심’ 도시 순위 방식과 차별화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는 ‘가정’ 시뮬레이션 분석이 도입되어, 도시가 향후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지를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즉, 특정 도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18개 지표의 원래 값을 도시 평균 수준으로 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순위를 재산정함으로써 도시가 보완해야 할 약점을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도시 계획 및 건설을 위한 의사결정의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재미있는 현상은 경제적 실력으로 유명한 선전이 10위에 턱걸이를 했다는 점이다. 광저우 역시 10위 권에 하위로 포진했다. 이제 중국도 시민들의 행복한 삶에는 경제적 요인 못지 않게 다른 요인들이 중요해지고 있는 것이다. 

 

 

다음은 중국의 거주 적합도 상위 10위 순위다.

 

1위 상하이

2위 항저우

3위 베이징

4위 하얼빈

5위 양저우

6위 하이커우

7위 광저우

8위 쯔보

9위 난징

10위 선전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