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2월 소비자 물가 0.2% 감소...디플레이션 우려 심화

 

중국 소비자 물가가 연초부터 하락세다. 중국 경제에 디플레이션, 경기 침체의 먹구름이 짙어 지고있다.

중국 당국은 올 경제 성장목표를 5%로 잡고, 내수를 통해 달성하려 하고 있다. 디플레이션 우려가 중국 당국의 이 같은 방침을 어둡게 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데이터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2월 CPI는 전월 대비 0.2% 하락, 전년 동월 대비 0.7% 하락했다. 국가통계국 도시사(城市司) 수석 통계사 둥리쥐안(董莉娟)은 “주로 춘절 시기의 차이, 연휴, 일부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 등의 요인에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분석했다.

실제 지난해 2월에는 춘절 영향으로 식품 및 서비스 가격이 크게 올랐으며, 이로 인해 올해 2월의 비교 기준이 높아졌고, 결과적으로 올해 2월 CPI가 전년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구조적으로 보면, 일부 분야의 가격이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CPI 내 일부 산업 소비재 및 서비스 가격은 안정적으로 상승했고, PPI 하락폭은 다소 축소되었으며, 현재 물가의 완만한 회복세는 변함이 없었다.

2월 CPI가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된 이유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첫째, 춘절 시기의 차이로 인해 지난해 동월 대비 기준이 높아졌다. 지난해 2월 춘절 영향으로 식품 및 서비스 가격이 크게 상승했으며, 이에 따라 올해 2월 CPI는 전년 가격 변동의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 분석 결과, 2월 CPI의 -0.7% 변동 중 전년 가격 변동의 지연 효과가 -1.2%포인트를 차지했고, 올해 가격 변동의 새로운 영향은 0.5%포인트였다. 춘절 시기의 차이를 배제하면 2월 CPI는 전년 대비 0.1% 상승했으며, 현재 물가의 완만한 회복세는 유지되고 있다.

춘절 영향이 큰 품목을 보면, 식품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3.3% 하락해 CPI를 약 0.60%포인트 낮추었으며, 이는 CPI 하락폭의 80% 이상을 차지해 CPI가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항공권 및 관광 가격도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2.6%, 9.6% 하락해 CPI를 약 0.27%포인트 낮추는 영향을 미쳤다.

둘째, 2월의 기상 조건이 신선 채소의 생장과 운송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2월에는 전국적으로 비·눈·결빙 현상이 적었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일부 지역에서 두 차례에 걸친 비·눈·결빙이 발생해 농업 생산과 운송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2월 신선 채소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12.6% 하락했으며, CPI를 약 0.31%포인트 낮추는 요인이 되었다.

셋째, 자동차 등 상품의 가격 할인 및 판촉이 있었다. 2월 연료 자동차와 신에너지 자동차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5.0%, 6.0% 하락해 CPI를 약 0.16%포인트 낮추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