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올 초 성장속도 가속했다

 

“올 1~2월 중국의 성장속도가 미미하지만 빨라졌다.”

중국 매체들이 1~2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성장 분석치를 놓고 한 평가다. ‘성장’에 목을 맨 중국 당국의 처지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게 중국 전문가들의 평가다.

중국은 미국의 강한 압박을 받으면서도 굴하지 않고 성장세 목표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글로벌 관세전쟁 격화 속에서도 중국 당국은 3월 양회를 통해서 올 성장 목표를 5% 안팎으로 지난해에 이어 유지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올 1~2월 규모이상의 제조업 부가가치가 국가 통계국 수치를 보도하면서 중국 경제의 성장세를 강조했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1~2월 전국 규모 이상 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체 증가율보다 0.1%포인트 빨라졌다.

사실 분기가 아닌 1~2월 부가가치 증가를 분석하는 것도 이례적이다.

중국 당국이 매번 경제 성장세를 점검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점검할 뿐 아니라, 조금이라도 나아지면 발표하길 주저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역시 그만큼 중국 국민들에게 당국의 경제 주도 능력이 있음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이번 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정보기술,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이 산업 변혁을 더욱 촉진하며 점점 더 산업 발전의 새로운 엔진이 되고 있다. 푸링후이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올해 1~2월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해 전체 산업 증가율보다 뚜렷이 높았다"고 밝혔다.

특히 장비 제조업은 10.6% 성장해 지난해 전체 증가율보다 2.9%포인트 빨라지며 산업 생산의 안정적이고 빠른 성장을 강력히 뒷받침했다. 그는 "이러한 산업 성장 속도는 지난해 1~2월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상황에서도 달성된 것으로, 중국 산업의 강한 회복력과 탄력성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현재 중국 산업 생산의 주요 특징은 고급화와 지능화이다. 푸링후이에 따르면, 올해 1~2월 중국 첨단 기술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해 지난해 전체 증가율보다 0.2%포인트 빨라졌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