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올 2월 부동산 경기 70대 도시 소폭 하락...다만 베이징와 상하이 등 1선 도시 소폭 상승

 

중국 부동산 경기가 바닥을 다지는 모양새다. 중국 당국은 중국 70개 주요 도시 부동산 가격은 소폭 하락했지만, 베이징과 상하이 등 1선도시들에서는 소폭 상승세를 기록했다.

결과적으로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지만, 1선 도시에서는 바닥을 다지고 조금씩 우상향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 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중국 부동산 산업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2월의 부동산 시장은 전월 대비로 보면 70개 대중도시에서 각급 도시의 상품 주택 판매 가격이 소폭 하락했으며, 단만 1선 도시의 신축 상품 주택 가격은 상승했다.

2월 1선 도시의 신축 상품 주택 가격은 전월 대비 0.1% 상승했으며, 상승폭은 지난달과 같았다. 도시별로 보면, 베이징은 0.1%, 상하이는 0.2%, 선전은 0.4% 상승했으며, 광저우는 0.2% 하락했다. 1선 도시의 중고 주택 가격은 전월 0.1% 상승에서 0.1% 하락으로 전환됐다. 그중 선전은 0.3% 상승했으며, 베이징은 변동이 없었고, 상하이와 광저우는 각각 0.4%와 0.3% 하락했다.

2월 2선 도시의 신축 상품 주택 가격은 전월 0.1% 상승에서 보합세로 전환됐으며, 중고 주택 가격은 0.4% 하락해 하락 폭이 지난달보다 0.1%p 확대됐다. 3선 도시의 신축 상품 주택 가격은 0.3% 하락해 하락 폭이 0.1%p 커졌으며, 중고 주택 가격은 0.4% 하락해 지난달과 같은 하락 폭을 유지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 보면, 2월 각급 도시의 상품 주택 가격 하락 폭이 모두 축소됐다.

2월 1선 도시의 신축 상품 주택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3.0% 하락했으며, 하락 폭은 지난달보다 0.4%p 축소됐다. 2선 도시의 신축 상품 주택과 중고 주택 가격은 각각 4.7%와 7.4% 하락했으며, 하락 폭은 지난달보다 각각 0.3%p와 0.2%p 줄어들었다. 3선 도시의 신축 상품 주택과 중고 주택 가격은 각각 5.9%와 8.0% 하락했으며, 하락 폭은 각각 0.1%p와 0.2%p 축소됐다.

중국 매체들은 “춘절 연휴와 비수기 등의 이유로 하락세를 이어갔지만 전반적인 안정세를 유지했다”고 평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부동산은 지난해 4분기이래 바닥을 다지는 중이다. 전년동기 대비로 조사대상의 모든 도시에서 상품 주택 가격 하락 폭이 지속적으로 축소됐다.

중국 당국은 “부동산 시장 안정화 정책이 효과를 내면서 올해 들어 부동산 시장 거래는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했으며, 신축 주택 판매는 대체로 안정적이고, 중고 주택 거래는 비교적 활발했으며, 1선 도시의 주택 가격도 다소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시장 기대감도 전반적으로 안정적이며, 부동산 시장은 지난해 4분기 이후의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평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