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지적 산업 발달 도시 1위는 베이징, 선전이 2위 상하이가 3위 차지

 

중국은 이제 지식산업국의 반열에 오른지 오래다. 흔히 산업을 생물에 비유해 설명하는 데, 제조업을 손발이라고 한다면 지식산업은 머리에 해당한다.

지적 재산권을 확보해 손발이 생산하는 부가가치에서 일정 부분을 떼 가는 게 형태다. 디자인, 프로그램 제공 등을 통해 간단히 라이센트 피를 받아가는 것이다.

이미 미국은 이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적 산업은 도시 환경오염도 없고, 높은 효율성에 의해 산업 근로자들에게 최고의 근로 환경을 제공하는 게 특징이다.

글로벌 사회 모두가 자국 산업구조에서 지적 산업의 비중을 높이려 안간힘을 쓴다. 중국 역시 마찬가지다.

과연 중국에서는 어느 도시의 지적 산업이 가장 발달했을까?

2025년 중국 지적산업 1위 도시는 베이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선전, 3위는 상하이였다. 베이징, 선전, 상하이는 중국 경제를 이끄는 ‘3인방’이다.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화상표협회, 수도지식재산서비스업협회, 베이징지식재산연구회 등 기관의 지원을 받은 중국지식재산지수 과제팀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중국 도시 지식재산 지수 보고서 2025』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베이징시가 중국 도시 지식재산 지수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지식재산 발전 수준은 ‘연해 지역에서 내륙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고 한다. 7대 권역별로 보면, 지식재산 총지수 점수는 남중국, 화동, 화북, 중부, 서남, 동북, 서북 순으로 나타났다. 35개 도시의 지식재산 총지수를 기준으로 보면, 2024년에는 베이징, 선전, 상하이 세 도시가 상위 3위를 차지했다. 이 중 베이징의 총지수 점수는 0.7739로 도시 평균의 2배 수준에 달했으며, 1급 지표 중 두 항목—지식재산 창출 수준과 지식재산 유통 수준—에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선전은 총지수 점수 0.6432로 도시 평균의 약 1.6배, 상하이는 0.5512로 도시 평균의 약 1.3배에 달했다.

보고서는 도시는 “보호에 치중하고 운영을 소홀히 하는” 전통적 틀에서 벗어나 성과 전환을 지향하는 새로운 거버넌스 모델을 구축해야 하며, 도시 발전 계획에 지식재산 전환 지표를 통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권리 배분 메커니즘을 최적화하고, ‘정부 주도 + 시장 중심 + 사회 참여’의 삼원 협치 모델을 탐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1위 베이징

2위 선전

3위 상하이

4위 항저우

5위 광저우

6위 난징

7위 우한

8위 허페이

9위 닝보

10위 칭다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