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분기 상하이 수출입 동기 대비 2.7% 감소, 수출 12.6% 증가

 

‘1조 100억 위안’

한화로 약 199조 2,730억 원 가량이다. 올 1분기 중국 상하이시의 수출입 총액이다. 큰 수치지만 전년동기 대비 3% 가량 감소했다.

미국발 관세전 발발이 조금씩 영향을 미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상하이 세관은 25일 통계 데이터를 발표했으며, 올해 1분기 상하이시의 수출입 총액은 1조 100억 위안(약 199조 2,73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 중 수출은 4622.4억 위안(약 91조 1,99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했으며, 매월 수출이 모두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1분기 동안 상하이시 민영기업의 수출입 규모가 확대되고 증가 속도도 선도하여, 상하이시 대외무역 발전의 중요한 엔진 역할을 했다. 민영기업의 수출입은 3772.2억 위안(약 74조 4,25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1% 증가했으며, 이는 시 전체 수출입 총액의 37.5%를 차지해 비중이 7.1%포인트 상승했다. 외자기업과 국유기업의 수출입은 각각 5,171억 위안(약 102조 238억 원), 1108.4억 위안(약 21조 8,68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3%, 9.3% 감소했으며, 전체 비중은 각각 51.4%, 11%였다.

1분기 동안 상하이시는 아세안과의 수출입이 1435.2억 위안(약 28조 3,16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했다. 또한 중동, 아프리카, 러시아, 인도 등 신흥 시장과의 수출입은 각각 372.6억 위안(약 7조 3,513억 원), 350억 위안(약 6조 9,055억 원), 330억 위안(약 6조 5,109억 원), 236.6억 위안(4조 6,68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9%, 7.2%, 43.8%, 30.8% 증가해 무역 파트너 다변화 특징이 뚜렷했다. 반면, 유럽연합, 미국, 일본과의 수출입은 각각 1740.9억 위안(약 34조 3,479억 원), 1094.3억 위안(약 21조 5,905억 원), 863.7억 위안(약 17조 40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9%, 2.4%, 4.7% 감소했다.

1분기 동안 상하이시의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했으며, 주요 우세 품목과 자원성 제품 수출이 동반 성장하여 이를 이끌었다.기계·전기 제품 수출은 2904.3억 위안(약 57조 3,01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2% 증가했으며, 이는 동기간 상하이시 전체 수출 총액의 62.8%를 차지했다. 이 중 노트북, 컴퓨터 부품, 휴대전화 등 전자제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3%, 17.5%, 5.1% 증가했다. 범용 기계 설비, 전기 제어 장치, 전선 및 케이블 수출도 각각 24.1%, 19.7%, 40.5% 증가했다.

노동집약형 제품 수출은 453.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했다. 이 중 의류, 섬유제품, 플라스틱 제품, 가구 및 부품 수출은 각각 9%, 10.9%, 10.8%, 13% 증가했다.의약품과 의료기기 수출은 각각 41.4억 위안(약 8,168억 2,200만 원), 36억 위안(약 7,102억 8,0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6%, 15.5% 증가했다.

또한 1분기 동안 상하이시의 주요 산업용 금속 소재 수출도 빠르게 증가했다. 이 중 철강재 수출은 158.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143.7% 증가했다. 구리 제품과 알루미늄 제품 수출도 각각 35억 위안, 33.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5.4%, 14.9%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