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노동절 연휴 가전제품 판매 전년 동기 보다 3배 늘어

 

지난 5월 1일 노동절 연휴기간 중국에서 일반 가정의 일상 가전제품 구매가 전년동기보다 무려 3배 가까이로 늘었다.

중국 당국의 ‘이구환신’(구형 제품을 신형으로 교체하는 비용을 지원하는 재정정책) 정책 효과가 톡톡히 나타났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홍성신문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이 같은 내용의 부가가치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노동절 5·1 연휴 기간 동안 전국 소비 관련 업종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5.2% 증가했다.

신문은 이 중 소비재 '구형 제품 반납 후 신제품 구매' 정책이 가전제품과 통신기기류 소비 수요를 견인했으며, 가정용품 및 귀금속 소비도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맞춤형 관광 서비스 소비가 인기를 끌었다고 분석했다.

무엇보다 ‘구형 제품 반납 후 신제품 구매’ 정책은 가전·통신기기류와 신에너지 차량의 소비 수요를 크게 끌어올렸다.

노동절 연휴 기간 동안 가전제품과 영상음향기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7.5% 증가했으며, 이 중 냉장고, 세탁기 등 일상 가전제품의 소매 매출은 169.8% 증가했다.

텔레비전 등 가정용 영상기기의 소매 매출은 153.1% 증가했다. 스마트폰 등 소비자 전자제품이 신제품 구매 보조금 범위에 포함되면서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했고, 통신기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8% 증가했다.

가정용품과 귀금속 소비도 양호한 상승세를 보였다. "5·1" 연휴 기간 동안 가구, 위생기기, 주방용품, 조명기기의 매출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7배, 68.7%, 30.1%, 15.7% 증가했다. 녹색 건강생활에 대한 인식이 더욱 확산되면서 자전거 등 이동 수단의 매출이 1.1배 증가했고, 영양 및 건강보조식품의 매출도 5.5% 증가했다. 금값 상승도 귀금속 소비를 촉진해 매출이 14.4% 증가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소비 열기가 동시에 고조됐다. "5·1" 연휴 기간 동안 종합 소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7% 증가했으며, 이 중 오프라인 백화점과 슈퍼마켓 매출은 각각 34.5%, 8.9% 증가했고, 온라인 인터넷 소매업 매출은 34.7% 증가해 온·오프라인 모두 소비 호조세를 보였다.

체험형 관광 서비스 소비도 지속적인 인기를 끌었다. "5·1" 연휴 기간 동안 관광·오락 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고, 이 중 명승지·풍경구, 휴양 관광 서비스, 공원 관광 서비스 매출은 각각 42.7%, 65.6%, 11.1% 증가했다. 특색 있는 민박과 예술 공연도 인기를 끌었으며, 민박 서비스와 예술 창작 및 공연 서비스 매출은 각각 17.9%, 31.1%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