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노동절 연휴 가전제품 판매 전년 동기 보다 3배 늘어

 

지난 5월 1일 노동절 연휴기간 중국에서 일반 가정의 일상 가전제품 구매가 전년동기보다 무려 3배 가까이로 늘었다.

중국 당국의 ‘이구환신’(구형 제품을 신형으로 교체하는 비용을 지원하는 재정정책) 정책 효과가 톡톡히 나타났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홍성신문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이 같은 내용의 부가가치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노동절 5·1 연휴 기간 동안 전국 소비 관련 업종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5.2% 증가했다.

신문은 이 중 소비재 '구형 제품 반납 후 신제품 구매' 정책이 가전제품과 통신기기류 소비 수요를 견인했으며, 가정용품 및 귀금속 소비도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맞춤형 관광 서비스 소비가 인기를 끌었다고 분석했다.

무엇보다 ‘구형 제품 반납 후 신제품 구매’ 정책은 가전·통신기기류와 신에너지 차량의 소비 수요를 크게 끌어올렸다.

노동절 연휴 기간 동안 가전제품과 영상음향기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7.5% 증가했으며, 이 중 냉장고, 세탁기 등 일상 가전제품의 소매 매출은 169.8% 증가했다.

텔레비전 등 가정용 영상기기의 소매 매출은 153.1% 증가했다. 스마트폰 등 소비자 전자제품이 신제품 구매 보조금 범위에 포함되면서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했고, 통신기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8% 증가했다.

가정용품과 귀금속 소비도 양호한 상승세를 보였다. "5·1" 연휴 기간 동안 가구, 위생기기, 주방용품, 조명기기의 매출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7배, 68.7%, 30.1%, 15.7% 증가했다. 녹색 건강생활에 대한 인식이 더욱 확산되면서 자전거 등 이동 수단의 매출이 1.1배 증가했고, 영양 및 건강보조식품의 매출도 5.5% 증가했다. 금값 상승도 귀금속 소비를 촉진해 매출이 14.4% 증가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소비 열기가 동시에 고조됐다. "5·1" 연휴 기간 동안 종합 소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7% 증가했으며, 이 중 오프라인 백화점과 슈퍼마켓 매출은 각각 34.5%, 8.9% 증가했고, 온라인 인터넷 소매업 매출은 34.7% 증가해 온·오프라인 모두 소비 호조세를 보였다.

체험형 관광 서비스 소비도 지속적인 인기를 끌었다. "5·1" 연휴 기간 동안 관광·오락 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고, 이 중 명승지·풍경구, 휴양 관광 서비스, 공원 관광 서비스 매출은 각각 42.7%, 65.6%, 11.1% 증가했다. 특색 있는 민박과 예술 공연도 인기를 끌었으며, 민박 서비스와 예술 창작 및 공연 서비스 매출은 각각 17.9%, 31.1%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