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올 1~4월 고정자산 투자 14조7000억 위안 돌파

 

‘14조 7천억 위안’

한화로 약 2,807조 9,940억 원 가량이다. 올 1~4월 중국의 고정자산 투자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4% 성장한 수치다.

흔히 경제 성장의 3축으로 투자, 소비, 수출을 꼽는다. 중국의 소비와 수출은 미국의 강력한 관세 포문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투자 역시 중국 당국의 성장 목표에는 살짝 밑도는 수준이지만,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어 주목된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을 4월 경제지표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4월 중국의 전국 고정자산 투자(농가 제외)는 14조 7천억 위안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 늘어난 수치다. 다만 증가폭은 이전보다 0.2%p 줄어들었다.

중국 당국은 국유 지분 투자 증가율은 6.2%에 달해 전체 투자 증가를 견인했으며, 민간 투자는 0.2% 증가했다고 밝혔다.

중국 매체들은 “투자, 소비, 수출이 경제 성장의 세 축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 중 투자가 가장 중요하다”며 “제조업, 부동산, 인프라 분야 투자가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산업 투자 증가율은 11.7%에 달했으며, 그 중 제조업 투자는 8.8% 증가했고, 철도·선박·항공우주 및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투자는 29.6% 급증했다. 제3차 산업에서는 인프라 투자가 5.8% 증가했다.

고급 제조업 투자는 전체 평균보다 훨씬 높은 증가세를 보여, 국내 제조업의 핵심 분야가 이미 대규모 투자를 끌어들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4월 사회소비재 소매총액은 3조 7,200억 위안(약 710조 5,94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이전보다 0.8%p 낮아졌다. 자동차를 제외한 소비재 소매액은 3조 3,500억 위안(약 639조 9,170억 원)으로 5.6% 증가했다.

소비는 일반적으로 외식과 상품 소매로 나뉘는데, 4월 외식 매출은 4167억 위안으로 5.2% 증가했고, 상품 소매는 3조 3,000억 위안(약 630조 3,660억 원)으로 5.1% 증가했다.

온라인 소비 측면에서는 1~4월 온라인 소매총액이 4조 7,400억 위안(약 905조 4,348억 원)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했다. 이 중 실물 상품 온라인 소매액은 약 3조 9,300억 위안(약 750조 7,086억 원)에 달해 전체 소비에서 24.3%를 차지했다.

4월 제한 이상 단위의 상품 소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해 총액이 약 1조 3,800억 위안(약 263조 6,076억 원)에 달했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가전제품 및 음향영상기기류 소매액은 38.8% 증가했고, 문화·사무용품은 33.5%, 가구는 26.9% 증가했다.

그 외에도 금은보석류, 스포츠·오락용품, 통신기기류 등 다수 품목이 10% 이상 증가했다.

4월 경제 데이터에는 주목할 만한 지점이 많았으며, 국가통계국은 거시 정책의 공동 작용으로 주요 지표들이 안정적이고 빠르게 증가했다고 평가했고, 국민경제는 새로운 방향으로 호전되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중, 학생간 서로 신고하게하는 학생 관리 가장 비교육적이라고 지적
학생들을 서로 감시하게 하고, 잘못을 선생에게 신고하도록 하는 통제방식은 교육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 중국에서 한 중학교의 학생 지도 방식이 네티즌들의 여론 도마에 올랐다. 아예 학부모들 간에 소송전이 벌어지면서 법정에 서기까지 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최근 후난성 고급인민법원은 한 건의 학교 내 갈등 사례를 공개했다.모 중학교는 학생들이 휴대전화,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소지하는 것을 엄격히 금지했고, 학생들에게 서로를 신고하도록 장려했다. 이에 따라 송 모 학생은 같은 반의 저우 모 학생이 자리를 비운 사이, 그의 가방을 뒤져 태블릿을 찾아내 교사에게 넘겼고, 교사로부터 우유 한 병을 보상으로 받았다. 이후 저우 모 학생은 자신이 신고당한 사실을 알고 격분해 송 모 학생의 머리와 손 등을 폭행하여, ‘경미한 상해 2급’에 해당하는 부상을 입혔다. 폭행을 당한 송 모 학생은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고, 최종적으로 법원은 가해자인 저우 모 학생이 민사 손해배상 책임의 50%를, 학교가 30%를, 그리고 송 모 학생 본인이 20%를 부담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법원은 세 당사자의 책임을 다음과 같은 이유로 명확히 했다. 폭행을 당한 송 모 학생은 학교 규칙을 지킨다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