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항공우주, 항공, 항해 등 '삼항산업' 급속 발전 눈길

 

중국이 ‘삼항(三航) 굴기’에 나서고 있다. 삼항은 우주, 항공, 항해를 말한다. 말 그대로 바다를 건너고 하늘을 날며 우주를 비행하는 분야로, 인류의 미래 먹거리 산업이다.

중국은 이미 이 분야의 원천기술로는 미국과 경쟁하는 유일한 나라가 되고 있다. 우주 분야, 특히 달 탐사 분야에서는 이미 미국을 능가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국가통계국 공업사 통계사인 위웨이닝은 최근 기자회견을 갖고 2025년 1~5월 산업기업 이윤 데이터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5월 동안 철도·선박·항공우주 산업의 이윤을 전년 동기 대비 56.0% 증가했다. 중국의 이른바 항공우주, 항공, 항해 등 ‘삼항(三航)’ 산업이 빠르게 발전한 덕이라는 게 중국 매체들의 분석이다.

중국 매체들은 “’하늘을 날고 바다를 누비는’ 산업 활력이 고품질 발전을 여실히 보여주었다”고 밝혔다.

삼항 가운데도 중국산 대형 여객기의 상업 운항 2주년을 맞았다. 중국은 지난 2023년 5월  C919상업용 대형 여객기를 제작 상업화에 성공했다. 중국이 국제 감향성 기준에 맞춰 제작한 첫 상업용 여객기다. 보잉 737, 유럽 에어버스의 ‘A320’과 동급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EU의 감향성 기준 시험에 통과해 보잉과 에어버스 등과 함께 글로벌 3대 여객기 제조사 직을 차지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은 우주 분야에서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의 착륙 임무 단계 진입, 민간 우주항공 기업들의 잇따른 성과를 냈다. 이 같은 성과의 영향을 받아, 항공기 제조업, 우주선 및 운반 로켓 제조업의 이윤이 각각 120.7%, 28.6% 증가했다.

동시에 항공우주 관련 장비 제조업의 이윤도 68.1% 증가했다고 전했다.

또한 해양 경제가 강력히 추진되는 배경 속에서, 선박 및 관련 장비 제조업의 이윤은 85.0% 증가했고, 그중 금속 선박 제조업의 이윤은 111.8% 증가했으며, 관련 선박용 부품 장비 제조업과 해양 공정 장비 제조업의 이윤도 각각 63.2%, 15.4% 증가했다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