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6월 PMI지수 상승세 유지

 

중국의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상승세를 이어갔다. 중국 경제의 활황 상승을 예고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서비스업조사센터와 중국물류구매연합회 조사 내용을 공개했다.

공개 자료에 따르면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비제조업 업무활동지수, 종합 PMI 생산지수는 각각 49.7%, 50.5%, 50.7%를 기록해 전월보다 각각 0.2, 0.2, 0.3%포인트 상승했다. 세 지수 모두 반등세를 보이며 우리나라의 경기 수준이 전반적으로 확장 국면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통계국 서비스업조사센터의 고급통계사 자오칭허는 “중국 경제의 전반적인 상승 국면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중국 매체들은 PMI의 지속적인 반등에 의미를 부여했다. 실제 중국의 6월 제조업 PMI는 49.7%로 상승했고, 조사 대상 21개 업종 중 11개가 확장 구간에 들어섰다. 전월 대비 4개 업종이 추가된 수치다.

생산지수와 신규주문지수 역시 각각 51.0%, 50.2%로 전월 대비 0.3%포인트와 0.4%포인트 상승했다.

해 제조업 생산활동이 가속되고 시장 수요도 개선되었다. 업종별로 보면, 식품 및 주류·정제차, 전용설비 등 업종의 생산 및 신규주문 지수는 2개월 연속 확장 구간에 머물며 관련 산업의 생산과 수요가 빠르게 증가했다.

반면 비금속광물제품, 흑색금속 제련 및 압연가공 업종은 두 지수 모두 기준선을 밑돌아 시장 활력은 여전히 부족했다. 생산과 수요 회복에 힘입어 기업들의 구매 의욕도 강해졌고, 구매량지수는 50.2%로 전월 대비 2.6%포인트 상승했다.

주요 원자재 구매가격지수와 출고가격지수는 각각 48.4%, 46.2%로, 모두 전월 대비 1.5%포인트 상승해 제조업 시장 가격 수준이 다소 개선되었다. 업종별로는 최근 국제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석유·석탄 및 기타 연료 가공업의 원자재 구매 및 출고가격지수가 뚜렷이 반등했다. 반면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 하락과 최종 수요 부족으로 흑색금속 제련 및 압연가공업의 두 가격지수는 동반 하락해 관련 업종의 시장 가격 흐름은 다소 약세를 보였다.

대형기업 PMI는 51.2%로 전월 대비 0.5%포인트 상승하며 확장 구간을 유지했고, 제조업 전체에 뚜렷한 지지 역할을 했다. 중형기업 PMI는 48.6%로 1.1%포인트 상승하며 경기 수준이 개선되었다. 반면 소형기업 PMI는 47.3%로 전월보다 2.0%포인트 하락했다.

설비제조업, 첨단기술 제조업, 소비재 업종의 PMI는 각각 51.4%, 50.9%, 50.4%로 2개월 연속 확장 구간에 머물렀다. 이 중 설비제조업의 생산 및 신규주문 지수는 모두 53.0%를 넘어 관련 업종의 생산과 수요가 모두 활발했다. 고에너지 소비 업종의 PMI는 47.8%로 전월 대비 0.8%포인트 상승하며 경기 수준이 다소 개선되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