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웨이보 반응] 디펜딩 챔피언 독일, 멕시코에 0-1 패배! 중국 네티즌의 반응은?

 

 

 

 

 

 

 

 

 

 

 

 

 

출처 : 웨이보 微博

 

뜨겁게 진행되고 있는 2018 러시아 월드컵 조별리그에서 많은 사람들의 예상을 뛰어넘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바로 남미의 강호 멕시코가 2014 브라질 월드컵 우승국 독일에 승리를 거둔 것인데요.
이날 멕시코는 강력한 우승후보인 독일을 맞아 초반부터 주도권을 잡고 빠른 역습을 통해 꾸준하게 기회를 창출하며 독일에 전혀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번 경기 결과에 중국 네티즌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호날두는 내 차를 보내버렸고, 독일은 내 방을 보내버렸어(내기 걸어서 졌다는 뜻 같네요). 

네이마르는 내 운명을 보낼 것인지 아닌지 봐야겠네ㅎㅎ 

 

 

 

- (첫 번째 댓글에 대한 대댓글) 내가 더 쩔어. 내기 안 걸었을 때 말한 게 다 정확했어. 내기 걸면 망해 ㅎㅎ

 

 

 

- (2차 세계대전이) 70년이 지났는데도 독일은 모스크바에서 여전히 힘겨워하네.

 

 

 

 

- 멕시코의 발기술은 정말 섬세했고, 속도도 빨랐어. 골 들어갔을 때는 정말 할 말이 없더라. 근데 전반적으로 멕시코 형들의 슈팅 대부분이 날카로웠어. 만약 전방에 특급 선수가 포진되어있었더라면 오늘 독일은 폭격을 맞았을 거야. 근데 오늘 독일팀의 경기 태도에 뭔가 문제가 있어 보여. 결론 : 이번 월드컵은 뭔가 있는데 먼저 아르헨티나, 그리고 독일. 다음은 브라질로 넘어가려나? ㅠㅠ

 

많은 중국 네티즌들이 축구 토토 이야기까지 하면서 예상 밖의 결과들에 놀라움을 표시했습니다.
독일과 멕시코는 우리나라와 같은 F조에 속해 있어 더욱 관심이 가는데요. 비록 독일이 졌지만 양 팀 모두 수준 높은 경기력을 보여주며 우리나라가 더욱 철저히 대비해야 할 필요성을 갖게 했습니다. 일단 우리나라는 경기력을 끌어올려 독일, 멕시코의 전력에 대비하면서도 스웨덴과의 첫 경기를 잘 마무리했으면 합니다. 글=김상태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