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뮤지컬 웃는 남자

 

뮤지컬 웃는남자 포스터(ⓒEMK)

 

 


뮤지컬 웃는 남자


2018.07.10()~2018.08.26()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뮤지컬 웃는 남자가 지난 10일 예술의 전당 오페라 극장에서 초연의 베일을 벗었다. 175억원의 제작비가 투입된 대작으로 2016<마타하리>를 제작하며 창작 역량을 쌓은 EMK뮤지컬컴퍼니의 두번째 대형 창작 뮤지컬이다.

빅토르 위고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만든 웃는 남자어린 시절 인신매매단에 의해 수술을 당한 평생 웃을 수밖에 없는 얼굴을 갖게 그윈플렌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신분 차별이 극심했던 17세기 영국을 배경으로 상위 1%가 부를 독점하는 현상을 그리며 인권 문제와 사회적 이슈를 조명한다. 이를 통해 관객으로 하여금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의 가치를 일깨우도록 도우며, 더불어 통쾌한 카타르시스도 함께 선사한다.

<레베카><엘리자벳><팬텀>등 수많은 흥행작을 연출한 로버트 요한슨이 대본을 쓰고 연출을 맡았으며 <지킬 앤드 하이드>의 프랭크 와일드혼이 작곡을, 그와 콤비로 활동하는 잭 머피가 작사를 맡았다. 박효신·박강현·수호가 그윈플렌역을 맡아 33색의 매력을 보여준다. 약장수 우르수스 역은 정성화, 양준모가, 매혹적인 공작 부인 조시아나 역은 신영숙, 정선아가 맡았다.


필자 강지현

 

 

 

 

뮤지컬 웃는남자(ⓒEMK)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