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콩 시위’로 관광업계 사실상 개점휴업

가이드 90% 활동 중단…호텔 투숙률 30%미만으로 떨어져

홍콩 시위로 관관업계가 개점휴업 상태다. 홍콩 가이드의 90%가 활동을 중단했고, 호텔 투숙률이 30% 미만으로 떨어지면서 음식값 인하 바람이 불고 있다.

황가이(黄嘉毅) 홍콩가이드총노조 이사장은 하루 평균 1000명이 넘는 회원을 설문조사 형식으로 조사한 결과 관광 성수기인 지난해 8월에는 월평균 12~15연대의 관광 가이드 수요가 있었지만 올해에는 연대를 하지 않는 관광 가이드가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대만 일간 연합뉴스가 28일 보도했다.

 

홍콩의 황진달(黄进达) 여의회(旅议会) 의장은 8월 중국 내 홍콩 방문단이 70% 급락했고, 다른 시장의 방문단도 50% 넘게 줄어 9월에도 반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일부 여행사는 이미 소속 가이드에게 무급 휴가를 내라고 요구했다. 홍콩국제공항에서 시위는 시민들의 해외여행 믿음에도 영향을 미쳤고, 홍콩인들의 해외여행 의사도 줄어들었다.

 

홍콩 여행업계 입법회 야오쓰룽(姚思荣) 의원은 "최근 7~8월 홍콩으로 여행가는 중국 내 여행단 수가 이전의 200~300연대보다 훨씬 적다"고 말했다. 그는 일부 호텔의 경우 8월 투숙률이 20~30%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홍콩의 추텅화(邱腾华) 상무·경제발전국장은 8월15~20일 홍콩 여행객이 전년 동기 대비 49.6%나 떨어져 상황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호텔업계는 하루 숙박요금을 200홍콩달러(약 25.5달러)까지 내렸고, 호텔 음식값도 놀라운 가격으로 인하했다. 홍콩 여행객이 크게 줄고 홍콩인들의 소비 의욕도 낮아져 올여름 음식값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20%가량 낮아져 장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