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화웨이 “미국 제재에도 생산라인 멈추지 않았다”

연구전용 단지 옥스혼에 2만명 근무…연말까지 1만명 증원

미국의 제재를 받아온 화웨이 측은 휴대전화 생산을 중단한 적이 없으며, 현재 위기에 처해 있지만 연말에는 피해량의 대부분을 회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다국적 과학기술회사인  화웨이가 중국 광둥(廣東)성 둥관(東莞)에 있는 화웨이 제조공장 3층에 길이 120m가량의 스마트폰 생산라인 15개가 있다고 조선일보가 23일 보도했다.
  라인당 28.5초에 1대, 하루 2400대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장이 완료되면 스마트폰을 상자 안에 가지런히 넣고 기계를 운반해 창고로 옮긴다. 이곳에서 일하는 직원이 17명에 불과해 공정의 80% 이상을 자동화해 생산성을 높였다. 화웨이 관계자는 "미국의 제재에도 화웨이 스마트폰 생산 라인은 멈추지 않았다"고 말했다.
  화웨이는 미국의 제재를 받고 '전쟁'을 치루고 있다. 부품 수령난과 MS의 공급사슬 차단 등에 맞서 화웨이는 지출 축소와 자급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화웨이가 올해 100억위안(1위안약 0.147달러)을 들여 완공한 연구개발 전용단지 옥스혼(Ox-Horn)이 그 최전선에 있다. 연구개발(R&D)팀 중 2만명이 출근해 내년 말까지 1만명을 더 늘릴 계획이다. 화웨이 R&D 인력(8만명)의 37.5%가 한 곳에서 일한다.
  화웨이 관계자는 "이곳에서 5G(5세대 이동통신)와 인공지능(AI)과 함께 미국의 제재로 공급이 어려운 부품을 상당수 독자 개발해 위기를 극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개(宋凯) 화웨이 대외협력담당 매니저는 "스마트기 사업에서 미국의 압박으로 상당한 피해가 발생한 것은 사실"이라며 "전투기를 비유하면 적으로부터 4300발 이상의 총알이 동시에 발사되는 (총림탄 위기)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연말까지 피해량의 90% 이상을 회복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조선일보는 화웨이가 18일 상하이 엑스포 행사장에서 "화웨이가 5년간 15억달러를 들여 인공지능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지만 미국의 제재 압박 여파로 지난해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서부 데이터 등이 빠졌다고 보도했다. 화웨이의 '글로벌 기술굴기 전략'은 생각보다 훨씬 어려울 수 있다고 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