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향후 5년간 세계 경제 성장의 최대 엔진 역할 지속할 것

인도, 경제성장 차지 비중 2024년 미국 추월

중국이 미국과 경제 패권을 두고 벌이는 무역전쟁으로 전 세계 시장에 먹구름이 끼여 있지만 중국은 여전히 세계 무역의 '성장엔진'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전세계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있지만 중국이 향후 5년 동안 세계 경제 성장에 여전히 가장 큰 기여를 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1일 중국 언론 시나재경(新浪财经)는 한 연구기관이 국제통화기금(IMF)의 예상을 토대로 구매력평가를 반영, 2024년 글로벌 경제성장의 20대 엔진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이 전 세계 경제성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2019년의 32.7%에서 2024년까지 28.3%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전체 경제 성장에 있어 최대 성장엔진으로서의 기능은 여전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해당 연구 결과에서 미국은 인도에 추월당할 것이라는 전망도 같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세계 경제성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2019년의 13.8%에서 2024년까지 9.2%로 낮아지는 반면, 인도는 15.5%로 높아질 전망이다.

 

인도네시아는 여전히 4위일 것이다. 2024년 글로벌 경제성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7%로 예상돼 2018~2019년의 3.9%에 비해 약간 낮아진 수준에 그쳤다.

 

러시아는 일본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세계 경제 성장 엔진 5위에 오를 전망이다. 일본은 5위에서 9위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브라질은 현재 11위에서 6위로 올라설 것으로 보이고, 독일은 여전히 7위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