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아마존 3분기 수익 2년여 만에 감소

프라임 고객 위한 1일 배송 서비스가 원인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의 올해 3분기 순익이 2년여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2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CNN방송은 아마존이 약 2조4천700억 원의 순이익을 거뒀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28% 감소한 수준으로 월가의 기대치(실적 전망치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아마존의 전년 동기 대비 순익 감소는 2017년 2분기 이후 처음 나타난 현상이라고 밝혔다. 실적 악화로 아마존의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최소 9%까지 하락하며 시가총액이 800억 달러(약 94조 원)나 증발했다.

 

아마존의 3분기 매출액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4% 증가한 700억 달러(약 82조2천억 원)로 시장의 전망치를 웃돌았다.

 

WSJ은 아마존의 실적악화 배경이 유료 멤버십 회원인 프라임 고객에게 ‘1일 초고속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투자 확대에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 4월, 아마존이 "프라임 고객에게 1일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분기에 8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2분기 실적 발표 당시 계획보다 상회하는 비용이 1일 배송 서비스에 투입됐다고 밝혔다.

 

아마존의 3분기 전 세계 배송 비용은 96억 달러(약 11조3천억 원)로 1년 전보다 46% 증가했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성명에서 "고객들은 프라임(배송)이 이틀에서 하루로 전환된 것을 좋아한다. 그들은 올해 이미 무료 1일 배송 상품을 수십억개 주문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것은 큰 투자이자 장기적으로 고객을 위한 올바른 결정"이라고 덧붙였다.

 

아마존은 4분기에는 1일 배송 서비스 비용으로 15억 달러가 들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직원도 3분기에 10만 명 가까이 늘어 정규직과 시간제 직원이 75만 명이다.

 

핵심 수익원인 클라우드 사업 부문 아마존 웹 서비스(AWS)는 성장이 둔화하기 시작했다. AWS 매출은 약 90억 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35% 늘었지만 2분기(37%)보다는 증가율이 둔화했다.

 

한편 CNN은 이 상황의 배경을 클라우드 시장 전반의 성장 둔화로 예측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