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금융당국, 보험료 대납 막는다

금감원 “모집 수수료를 막아냄으로써 보험료 인상 요인 제거될 것”

이르면 내년 상반기부터, 보험료 수납을 위해 만든 가상계좌에 보험료를 입금한 사람이, 실제 보험계약자인지를 보험사가 확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된다.

입금자가 실제 보험계약자인지 확인하지 못하는 가상계좌의 허점을 이용해, 보험료를 대신 내주는 방식으로 부당하게 보험을 모집하는 행위를 막기 위해서다.

 

금융감독원은 6일 보험, 은행업계와 함께, 보험사 가상계좌 내부통제 개선 태스크포스(TF)를 연말까지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TF를 통해 보험사와 은행들은 내년 상반기까지 업무협약을 맺고, 가상계좌의 실제 보험료 입금자가 누군지 확인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한다.

 

가상계좌는 실제 은행계좌에 연결된 계좌번호 형식의 전산 코드이다. 보험사는 은행으로부터 부여받은 가상계좌로 보험료가 들어오면, 개별 고객의 보험료로 인식하며 가상계좌로는 누구라도 보험계약자 이름으로 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다. 보험사 측에서는 입금자가 실제 계약자와 동일한지 확인할 수 없다.

 

이에 일부 보험설계사들이 계약자 대신 보험료를 입금하는 등, 가상계좌를 부당 모집행위 수단으로 악용하는 경우가 존재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신에게 떨어지는 수당 때문에 대납 행위를 통한 부당 모집을 하는 보험설계사들이 일부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첫 보험료가 가상계좌로 납입된 계약의 2년 후 유지율은 61.3%에 불과했다. 신용카드나 자동이체 등을 통한 계약의 2년 후 유지율은 74.1%였다.

또한 5개 대형 손해보험사 중 한 곳은 보험 설계사가 6회 연속 가상계좌로 보험료를 입금한 경우, 2년 후 계약 유지율이 4.6%까지 하락했다.

 

금감원은 “실제 입금자 확인제도가 시행되면 부당 모집행위에 가상계좌를 이용할 수 없게 돼 건전한 보험거래 질서가 확립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더 나아가 “이런 허위 계약 등으로 발생할 모집 수수료를 막아냄으로써 보험료 인상 요인이 제거돼 소비자 이익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