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편의점•마트 거스름돈 “바로 내 계좌로”…적립 서비스 도입

내년 초 시범 서비스 시작 예정

내년 초 편의점, 마트 등에서 현금으로 계산한 후 잔돈을 계좌로 곧바로 입금할 수 있는 서비스가 도입될 예정이다.

 

한국은행은 7일 ‘잔돈 계좌적립서비스’ 시범사업 도입에 앞서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유통사업자를 모집한다고 발표했다.

잔돈 계좌적립서비스란 유통업체에서 현금 또는 상품권으로 계산한 다음, 적은 금액의 거스름돈을 직접 받지 않고, 모바일 현금카드나 현금 IC 카드와 연결된 본인 계좌에 입금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만 있으면, 동전을 거슬러 받을 필요가 사라지는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사업에 참여할 유통사업자 신청을 받은 뒤, 사업자별 준비 기간을 거쳐 내년 초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한은은 2017년 4월부터 동전 없는 사회 시범사업을 추진해 왔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물건을 산 다음 잔돈을 교통카드 등 선불전자지급수단에 적립할 수 있는 1단계 시범사업은, 이미 주요 편의점 및 마트에서 운영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세븐일레븐, 이마트, CU 등 6개 마트·편의점과 캐시비, 티머니, 하이패스, 엘(L)포인트, 네이버 페이 포인트 등 10개 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업자 등이다.

올해 1분기에 이 서비스를 이용한 건수는 일평균 2만6천226건, 이용 금액은 일평균 496만2천원에 달했다.

 

이번 ‘잔돈 계좌적립서비스’ 사업에 시범사업자로 참여하려면 한은 금융결제국 전자금융기획팀 앞으로 지원서를 제출하면 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