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정시 확대 영향 받나”… 서울 아파트값 19주 연속 상승해

강남구전셋값, 서울에서 가장 큰 폭으로 상승

 

정부의 분양가 상한제 시행 예고와 실거래 합동조사 등 시장에 대한 압박에도 불구하고, 서울 아파트값이 19주 연속 상승했다.

한국감정원은 7일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09% 올라, 19주 연속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일이 기준일로, 6일 정부가 발표한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지역 27개 동 지정, 조정대상지역 해제에 따른 시장 영향은 반영되지 않았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분양가 상한제 대상지역 발표를 앞두고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 송파(0.15%)·서초(0.13%)·강남(0.12%) 등 강남 3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1∼0.02%포인트씩 올랐다. 강동구 상승률은 지난주(0.10%)와 같았다.

 

비강남권에서는 이번에 상한제 대상에서 제외된 동작구의 아파트값이 0.13%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으며, 영등포(0.11%)·서대문(0.11%)·강서(0.10%)·양천(0.10%)·마포구(0.09%) 등도 지난주 대비 오름세를 보였다.

 

정부가 강남 4구와 마포·용산·성동·영등포구의 일부 과열 동을 분양가 상한제 대상지역으로 지정함에 따라, 앞으로 아파트값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쏠린다.

 

경기도 아파트값은 지난주 0.08%에서 금주 0.09%로 상승했다. 상한제 대상지에서 제외된 과천시가 0.51% 올라 지난주(0.46%)보다 오름폭이 커졌고, 광명시는 지난주와 비슷하게 0.27% 올랐다.

지하철 5호선 연장이 확정된 하남시도 0.46% 뛰면서 지난주(0.22%)보다 상승했다.

 

또한 이번에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고양시는, 지난주에 이어 2주 연속 보합을 기록했고, 남양주시는 0.02% 올라 2주 연속 상승했다.

 

부산의 경우 해운대와 수영구는 보합, 동래구는 0.05% 떨어졌으나, 낙폭은 지난주(-0.08%)보다 둔화했다.

 

한편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6% 상승했다.

서울 전셋값은 0.08% 올라 지난주(0.10%)보다 오름폭이 다소 줄었다. 입지 요건이 양호한 일부 지역은 전세 물건이 부족하지만 가을 이사철이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상승폭이 줄었다.

 

다만 최근 분양가 상한제 시행 계획이 발표되고, 정시 확대·자사고 폐지 등 교육 문제 등이 겹치며 학군 우수지역은 전셋값이 상승했다. 구체적으로 강남구의 전셋값이 0.20%로 서울에서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고 양천구가 0.14%, 서초구가 0.13% 각각 오름폭을 키웠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