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정시 확대 영향 받나”… 서울 아파트값 19주 연속 상승해

강남구전셋값, 서울에서 가장 큰 폭으로 상승

 

정부의 분양가 상한제 시행 예고와 실거래 합동조사 등 시장에 대한 압박에도 불구하고, 서울 아파트값이 19주 연속 상승했다.

한국감정원은 7일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09% 올라, 19주 연속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일이 기준일로, 6일 정부가 발표한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지역 27개 동 지정, 조정대상지역 해제에 따른 시장 영향은 반영되지 않았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분양가 상한제 대상지역 발표를 앞두고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 송파(0.15%)·서초(0.13%)·강남(0.12%) 등 강남 3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1∼0.02%포인트씩 올랐다. 강동구 상승률은 지난주(0.10%)와 같았다.

 

비강남권에서는 이번에 상한제 대상에서 제외된 동작구의 아파트값이 0.13%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으며, 영등포(0.11%)·서대문(0.11%)·강서(0.10%)·양천(0.10%)·마포구(0.09%) 등도 지난주 대비 오름세를 보였다.

 

정부가 강남 4구와 마포·용산·성동·영등포구의 일부 과열 동을 분양가 상한제 대상지역으로 지정함에 따라, 앞으로 아파트값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쏠린다.

 

경기도 아파트값은 지난주 0.08%에서 금주 0.09%로 상승했다. 상한제 대상지에서 제외된 과천시가 0.51% 올라 지난주(0.46%)보다 오름폭이 커졌고, 광명시는 지난주와 비슷하게 0.27% 올랐다.

지하철 5호선 연장이 확정된 하남시도 0.46% 뛰면서 지난주(0.22%)보다 상승했다.

 

또한 이번에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고양시는, 지난주에 이어 2주 연속 보합을 기록했고, 남양주시는 0.02% 올라 2주 연속 상승했다.

 

부산의 경우 해운대와 수영구는 보합, 동래구는 0.05% 떨어졌으나, 낙폭은 지난주(-0.08%)보다 둔화했다.

 

한편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6% 상승했다.

서울 전셋값은 0.08% 올라 지난주(0.10%)보다 오름폭이 다소 줄었다. 입지 요건이 양호한 일부 지역은 전세 물건이 부족하지만 가을 이사철이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상승폭이 줄었다.

 

다만 최근 분양가 상한제 시행 계획이 발표되고, 정시 확대·자사고 폐지 등 교육 문제 등이 겹치며 학군 우수지역은 전셋값이 상승했다. 구체적으로 강남구의 전셋값이 0.20%로 서울에서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고 양천구가 0.14%, 서초구가 0.13% 각각 오름폭을 키웠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