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화장품업계, “中 소비자 잡아라”…열띤 광군제 마케팅 벌여

한정판매 상품 출시 등 다양한 행사 진행

중국 최대 쇼핑일인 '광군제'(光棍節·11월11일)를 맞아,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국내 화장품 업계가 치열한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앞서 중국의 화장품 수입국 1위는 한국이었으나, 지난 1분기 일본에 뺏긴 바 있다. 이에 업계는 이번 광군제에 매출을 상승시켜 1위 자리를 되찾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광군제를 앞두고 가장 열띤 마케팅을 펼쳤다. 아모레퍼시픽은 올해 초부터 광군제 전용 태스크포스(TF)를 꾸려 한정 상품과 할인행사를 준비했다.

특히 지난 3분기 온라인 매출 증가로 '깜짝 실적'을 이뤄낸 만큼, 광군제를 맞아 온라인 마케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달 18일부터 사전 예약으로 '설화수', '라네즈' 등 대표 브랜드를 통해, 윤조에센스 광군제 한정제품, 설화수 베스트 제품 한정 패키지 상품을 출시했다. 광군제 예약 판매는 예약금(10% 내외)을 결제한 후 광군제 당일 잔액을 추가 결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미 현지 온라인 쇼핑몰 '티몰'(톈마오·天猫)에서 몇몇 한정판은 예약이 끝났다.

 

한편 LG생활건강도 대표브랜드 '후', '숨', '오휘', '빌리프' 등을 내세워 마케팅 전쟁에 합류했다.

'후'는 주력 제품 '천기단 화현' 세트와 '비첩 자생 에센스', '공진향 수연세트'를 중심으로 예약 판매를 진행했으며, 이 가운데 천기단 화현 세트는 지난달 21일 예약판매 개시일에만 무려 11만 세트가 예약됐다.

 

또한 LG생활건강은 광화문을 배경으로 제작한 브랜드 영상을, 광군제 당일까지 티몰 메인 페이지에 실을 계획이다.

온라인 생방송도 실시한다. 브랜드별로 왕훙(網紅·인터넷 파워블로거)의 티몰 온라인 생방송을 방송해 주요 제품을 중국 소비자에 소개할 예정이다.

 

‘AGE 20s(에이지투웨니스)’가 대표상품인 애경산업도, 전 제품을 대상으로 최대 50%까지 할인해주는 행사를 진행한다.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빨간색을 이용한 한정판 '시그니처 모던레드 에디션 세트'도 준비했다. 이 세트에는 애경의 대표 브랜드 'AGE 20's'(에이지투웨니스)의 대표 상품들이 포함됐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중국 화장품 수입국 1위였던 한국이 올해 일본에 자리를 내주면서 업계의 충격이 크다"면서 "중국에서 화장품 소비가 가장 많이 이뤄지는 광군제를 맞아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